구글은 왜 젠틀몬스터에 투자했을까?

0

젠틀몬스터
출처 = 구글


스마트 안경의 시대, 마케터가 주목해야  5가지 신호

2024년 6월, 구글이 국내 아이웨어 브랜드 ‘젠틀몬스터’에 약 1,450억 원(1억 달러)을 투자했다는 소식이 전해졌습니다. 단순한 재무 투자일까요? 아니면 다가올 미래 시장을 준비한 일종의 ‘포석’일까요?

이번 투자는 구글이 다시 한번 ‘스마트 안경’ 시장에 진입하려는 본격적 신호로 해석됩니다. 그 중심에 패션 브랜드 젠틀몬스터가 있다는 점은 단순한 기술이 아닌 라이프스타일 중심의 전략이라는 의미이기도 하죠.

이 글에서는 구글×젠틀몬스터 협업이 마케팅에 어떤 함의를 주는지, 앞으로 어떤 변화가 예상되는지를 다섯 가지 관점에서 살펴보겠습니다.

1️⃣ 기술보다 감성: ‘구글 글래스’의 실패에서 배운 것

구글은 2013년 ‘구글 글래스’로 웨어러블 시장에 도전했지만, 결과는 실패였습니다. 이유는 분명했습니다.

  • 너무 기술 중심이었다
  • UX보다 ‘기능성’을 강조했다
  • 패션 아이템으로 보기에 부담스러웠다

이번에는 다릅니다. 젠틀몬스터는 ‘기술이 아닌 감성’으로 승부하는 브랜드입니다. 구글이 그들과 손잡은 것은, 기술을 감성으로 감싸기 위한 전략적 선택으로 보입니다.

%E1%84%89%E1%85%B3%E1%84%8F%E1%85%B3%E1%84%85%E1%85%B5%E1%86%AB%E1%84%89%E1%85%A3%E1%86%BA2025 06 23%E1%84%8B%E1%85%A9%E1%84%8C%E1%85%A5%E1%86%AB8.44.17

출처 = 젠틀몬스터

2️⃣ MZ세대의 취향, 스마트폰 다음은 안경?

MZ세대는 기능보다 ‘감도’를 소비합니다. 단순히 AI 기능이 탑재되었다는 이유만으로 제품을 구매하지는 않죠. 그런 의미에서 젠틀몬스터의 합류는 마케팅적으로도 결정적입니다.

  • 트렌디한 디자인
  • 인스타그래머블한 착용 이미지
  • 글로벌 셀럽이 이미 착용한 브랜드력

이 모든 것이 구글이 전하고 싶은 스마트 글래스의 ‘두 번째 이야기’에 잘 어울립니다.

%E1%84%89%E1%85%B3%E1%84%8F%E1%85%B3%E1%84%85%E1%85%B5%E1%86%AB%E1%84%89%E1%85%A3%E1%86%BA2025 06 23%E1%84%8B%E1%85%A9%E1%84%8C%E1%85%A5%E1%86%AB8.47.13

출처 = 젠틀몬스터

3️⃣ 구글·삼성·젠틀몬스터: K-라이프스타일 플랫폼이 될 수도

보도에 따르면 구글은 삼성과의 협력을 통해 스마트 안경의 하드웨어 기술을 개발하고, 젠틀몬스터는 디자인을 맡습니다. 이 삼자 협력은 단순한 기기 개발을 넘어, ‘한국형 스마트 라이프스타일’의 가능성을 보여줍니다.

예상 가능한 시나리오:

  • 실시간 번역, 내비게이션, 일정 확인 → “스마트폰 없는 일상”
  • 안경을 쓰면 연결되는 AI 비서 (Gemini)
  • 감성적 디자인 + 기능적 만족 → 스마트 안경의 대중화
%E1%84%89%E1%85%B3%E1%84%8F%E1%85%B3%E1%84%85%E1%85%B5%E1%86%AB%E1%84%89%E1%85%A3%E1%86%BA2025 06 23%E1%84%8B%E1%85%A9%E1%84%8C%E1%85%A5%E1%86%AB8.48.51

출처 = 구글 유튜브

4️⃣ 메타는 왜 프라다·오클리와 손을 잡았을까?

한편, 메타(Meta)는 이미 Ray-Ban과 협업해 스마트 안경 2세대 제품을 시장에 선보였습니다. 그리고 최근에는 럭셔리 브랜드 프라다(Prada), 스포츠웨어 브랜드 오클리(Oakley) 등과도 협업을 확대하고 있습니다. 이들은 단순히 ‘브랜드 콜라보’가 아닌, 타깃 시장을 나누는 전략적 분화를 시도 중입니다.

  • Ray-Ban은 대중적인 패션 시장을
  • Prada는 하이엔드 럭셔리 소비자층을
  • Oakley는 액티브 스포츠 웨어러블 시장을 공략하는 방식이죠.

이는 메타가 웨어러블 시장을 ‘단일 제품 → 라이프스타일별 라인업’으로 확대하려는 시도로 볼 수 있습니다.

%E1%84%89%E1%85%B3%E1%84%8F%E1%85%B3%E1%84%85%E1%85%B5%E1%86%AB%E1%84%89%E1%85%A3%E1%86%BA2025 06 23%E1%84%8B%E1%85%A9%E1%84%92%E1%85%AE1.58.37

출처 = Oakley

5️⃣ 구글 vs 메타: 스마트 글래스 전략 비교

구글×젠틀몬스터 메타×프라다·Ray-Ban
핵심 파트너 K-패션 브랜드 글로벌 명품 브랜드
전략 방향 감성 중심, 아시아 기반 확장 라이프스타일 세분화 다각화
하드웨어 연동 삼성 하드웨어 + Android XR 메타 AI + 인스타그램 생태계
주력 기능 실시간 번역, 알림, Gemini 연동 실시간 카메라, 스트리밍, 통화
UX 포지셔닝 ‘스타일 중심 디바이스’ ‘SNS 콘텐츠 생성 도구’

구글은 젠틀몬스터를 통해 ‘일상에서 쓰는 안경이자, 가장 자연스러운 AI 디바이스’를 추구합니다. 반면 메타는 SNS 콘텐츠 창작 중심으로 ‘영상 중심의 카메라 안경’을 구축해가고 있습니다.

6️⃣ 마케터가 지금부터 준비해야 할 3가지

이런 변화에 마케터는 어떻게 대응해야 할까요?

  1. AI 커머스 환경 분석 :음성 검색, 시각 기반 검색이 주력인 미래를 대비해야 합니다.
  2. 웨어러블 UX 중심 브랜딩 : ‘보여지는 기기’에 맞춘 브랜디드 콘텐츠 기획이 필요합니다.
  3. ‘감성×기술’ 협업 전략 구축 : 테크 브랜드 + 라이프스타일 브랜드의 크로스 제휴가 핵심이 됩니다.

7️⃣ 스마트 안경, 진짜 뜰까? 시장 전망은

2024년 기준, 스마트 안경 시장은 약 25조 원 규모입니다. 하지만 IDC와 Counterpoint 보고서에 따르면, 2033년까지 약 73조 원으로 성장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메타는 이미 Ray-Ban과 함께 시장에 진입했고, 애플은 Vision Pro 이후의 디바이스를 준비 중입니다. 이제 구글도 돌아왔고, 그 첫 파트너가 바로 K-패션 브랜드라는 점에서 이 협업은 단순히 제품 이상의 의미를 갖습니다.

AAAAAAAAAAAAAAAAAAAAAD7L9sDtPsa3QRawizCgGm8zOfcnsExMiGoH LHSgKFF img

출처 = appleinsider.com

 오늘의 소마코 콕

✔️구글은 기술이 아닌 디자인과 감성을 택했다.
✔️스마트 안경은 단순 디바이스가 아닌 새로운 콘텐츠 플랫폼이 될 수 있다.
✔️마케터는 지금부터 웨어러블 UX, AI 브랜딩, 감성 콜라보를 고민해야 한다.

%E1%84%8B%E1%85%AE%E1%84%8B%E1%85%A7%E1%86%AF%E1%84%82%E1%85%B5%E1%86%B7 %E1%84%91%E1%85%B3%E1%84%89%E1%85%A1

EDITOR 버블정

“누군가는 써야 할 이야기를, 오늘 제가 씁니다.”

By. 마케팅 컨설턴시 골드넥스

AAAAAAAAAAAAAAAAAAAAAMB7LpYakS2gZZniShqhCy7KZMP5kwUM4 c7tq5 cQ6i tfile 66

AAAAAAAAAAAAAAAAAAAAAFlUdL0KkF07RSJN5fU9Zf1SSIb7UEWBsOoykjQWzVUL tfile 66

함께 읽으면 좋은 콘텐츠

댓글 0개

댓글 작성

건전한 댓글 문화를 만들어주세요. 입력하신 정보는 댓글 관리를 위해서만 사용됩니다.

인기글HOT

1

젠틀몬스터 신사옥, ‘하우스 노웨어 서울’이 보여주는 리테일의 미래

2

나이키 슬로건, 40년 만에 바뀌었다? JUST DO IT에서 ‘WHY DO IT?’ 으로

3

[뉴스콕] 카톡이 인스타처럼? 프로필 공개 개편에 엇갈린 반응 (8월 4주차)

4

러쉬는 왜 락페에 왔을까? – 화장실에서 만난 러쉬 대표님

5

MZ세대는 왜 겪어본 적도 없는 레트로를 그리워할까? : 아네모이아 현상

최신글

40년 넘게 ‘먹히는’ 맥도날드의 마케팅: 시대를 관통한 3가지 성공 전략

요즘 광고 카피, 왜 이리 잘해? 광줍픽 월간카피 TOP 6!

[뉴스콕] ‘깐부회동’ 효과 터졌다! 젠슨 황이 만든 깐부치킨 배달앱 검색 1위 신화 (11월 1주차)

“UX는 사람에 대한 고민입니다. 그렇기에 해야만 하는 일입니다”

소마코 마케팅 트렌드 리포트 (2025년 10월)

29년차 카피라이터가 선정 일본 카피 TOP 100 ! 필사하다 오열하는 일본어 명카피 필사노트

미국을 사로잡은 맛, ‘스와이시(Swicy)’의 정체는 달콤함+ㅇㅇ함?

갑차기스러운데 유행 밈 소개해도 돼? (2025년 10월 최신 밈 모음 zip.)

얼굴로 결제하는 시대, 페이스페이 vs 페이스사인

생성형 AI로 어디까지 가능할까? 최신 AI 마케팅 사례 모음 4

뉴스레터

엄선된 트렌드 인사이트를 이메일로 받아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