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글 로그 분석, 소셜마케팅 효과 측정을 위한 구글 로그 분석!
페이스북, 트위터, 블로그 등과 같은 소셜네트워크 서비스를 활용하는 기업들은 기업 나름대로의 목적이 있습니다. 다양한 서비스를 통해 기업을 홍보하기 위함일수도 있고, 고객들에게 더 좋은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것일 수도 있습니다. 또는 직접적으로 제품이나 서비스를 판매하기 위함일수도 있지요. 그러나 막상 웹서비스를 오픈한 후 기대이하의 성과에 실망을 하는 기업도 있습니다. 이렇게 실패하는 기업에게는 무엇이 문제일까요? 결과만 생각하고 과정을 생각하지 않았기 때문입니다. 사람들이 어떤 사이트를 통해 들어왔는지, 어떤 키워드를 검색하여 들어왔는지에 대한 분석이 필요합니다. 성공적인 소셜마케팅을 위한 소셜마케팅 효과 측정 “구글 로그 분석”에 대하여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구글 애널리틱스라고도 불리우는 “구글 로그 분석”, 소셜마케팅에 대한 효과를 어떻게 측정할 수 있을까요?
현재 다양한 곳에서 사용되고 있는 구글 로그분석 방법은 크게 로그파일 분석 방식과 스크립트 삽입 분석 방식으로 구분되고 있습니다. 로그파일 분석 방식은 웹서버에 쌓인 로그파일을 분석하는 방식으로 스토리지 부담이 크고, 별도 운영 인력이 필요해 대기업이 아니면 사용하기 어려운 방식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반면 스크립트 삽입 분석방식은 웹사이트에 분석용 스크립트를 삽입하는 방식으로 실시간 분석이 용이하고, 스토리지 부담이 없으며, 가격도 저렴하여 많은 기업과 쇼핑몰에서 선호하는 방식입니다.
다양한 기능을 무료로 사용할 수 있는 구글 로그분석 활용방법을 간단히 설명해드리도록 하겠습니다.
<구글 로그 분석 활용 방법>
1. '구글 로그분석' 검색
구글, 네이버, 다음 등 검색엔진에서 '구글 로그분석'을 검색하여 'Google 웹로그 분석' 사이트에 접속한다.
2. 구글 계정으로 로그분석 서비스 로그인
추가 회원가입없이 구글 계정으로 로그분석 서비스를 활용할 수 있다. 'Sign up'버튼을 클릭하여 로그인을 한다.
3. 새로운 로그분석 계정 생성
계정이름, 분석하고자 하는 사이트 URL, Time zone, 접속지역, 서비스약관 등에 대한 사항을 입력하여 새로운 계정을 생성한다.
4. 추적코드 확인 및 복사
분석하고자 하는 사이트의 추적코드가 생성된다. 해당 코드를 복사(Ctrl+C)한다.
5. 분석하고자 하는 웹사이트에 추적코드 붙여넣기
생성된 추적코드를 자신이 운영하는 사이트의
댓글 0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