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글 애널리틱스' 어렵지 않아요! 용어편 4. – '유입경로'란?

0

목차

 

2354103857077FF50D

 

인터넷 기반의 비즈니스를 하는 모든 기업들은 사용자가 어디서 어떻게 들어왔는지에 대해 궁금하지 않을 수 없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기업들은 어떤 채널이 사이트 브랜딩 재고에 큰 도움이 되었고 어떤 채널의 마케팅 비용 효율이 높은지를 찾기 위해 여러 방안을 모색합니다. 구글 애널리틱스를 활용하면 유입에 대한 여러 정보를 볼 수 있습니다. 특히 여러 지표 가운데 유입경로 보고서에서 사용자 유입에 대한 정보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사용자의 유입은 크게 네 가지로 나뉩니다.

 

 

262BD7375707803F28

 

 

 

1. 직접 유입 (Direct)

 

사용자가 다른 어떤 링크나 광고에 영향 받지 않고 순수하게 주소창에 직접 해당 URL을 입력하고 유입 되는 경우 직접 유입이라 정의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사실상 시스템적으로 특별한 추가적인 정보 없이 유입 되는 모든 트래픽을 직접 유입이라 간주합니다.

 

즐겨찾기에 등록된 페이지를 클릭 하는 행위, 태그가 안되어 있는 링크를 클릭해서 들어오는 행위 (이메일, 광고 포함), 추적 링크를 적재할 수 없는 문서타입 (PDF, PPT 내의 링크를 클릭하는 행위)과 같은 경우, 그 유입의 출처를 알 수 없기 때문에 직접 유입이라 간주 하게 됩니다.

 

 

 

2. 추천 유입 (Referral)

 

다른 사이트나 특정 링크를 통해 유입 되는 경우를 뜻합니다. 추천 유입의 경우 별도의 추가적인 작업 없이도 구분이 되는 유입형태이기도 합니다. utm_medium 값을 Google Analytics에 전달해주기 때문에 해당 사이트로 유입되기 직전의 페이지까지 확인 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PCMobile을 구분하는 로직 페이지가 중간에 있기 때문에 변수를 전달(Parse)해주지 못하는 상황이 생기기도 합니다. 그럴 경우 직접유입으로 카운트되거나, 로직 페이지를 추천 페이지로 기록할 수도 있기 때문에 데이터 분석 시 유의하여야 합니다.

 

2245E550570780AE0A

 

 

 

3. 검색 유입 (Search)

 

검색엔진을 통한 유입을 검색유입이라 정의하며, 이는 유료 검색과 무료 검색으로 나눌 수 있습니다. 검색유입량 증진을 위해 집행한 검색광고가 없다면 모든 검색유입은 무료 검색(Organic search)으로 집계되며, 유료 검색 유입(Paid search)은 해당 검색광고를 진행할 때만 집계됩니다.

 

 

 

4. 기타

 

맞춤(Custom) 유입도 존재합니다. 예를 들어 Facebook이나 Twitter를 통한 유입을 추천유입이 아닌 소셜 유입으로 간주하고 싶다면, 미리 관리>보기>채널에서 설정을 통해 확인할 수 있습니다. 기본적으로 설정되어 있는 “Default Channel Grouping” 외에 추가적으로 묶고 싶은 유입채널의 형태를 정의해주면 향후 발생하는 트래픽은 새롭게 설정해둔 채널에 따라 적재됩니다.

 

 

 

사용자가 어디로서부터 유입되는지 알 수 없으면, 세부적인 분석이 어렵습니다. 유입경로 분석은비단 ROI 측면에서 가장 효과적인 유입채널을 발견하는 것뿐만 아니라, 각 유입채널 별로 사용자들의 행동을 분석하여 최적화된 UI/UX를 제공하기 위해서도 활용할 수 있습니다. 캠페인 코드를 활용한 동일 추천 유입일지라도 구분을 통해 특정 어느 광고가 더 유의미한 가치를 지니는지에 대한 분석 또한 가능합니다.

 

 

Google Analytics 관련 문의 사항은 khan@goldenax.co.kr로 연락주시면 친절히 알려드리겠습니다.

 

 

안광현

안광현 Eric
Project managerMarketing & Sales

유쾌하게 살고 싶은 분석 꿈나무

smk icon m3 smk icon f3 smk icon t3

 

 

socialmarketing bottom

 

함께 읽으면 좋은 콘텐츠

댓글 0개

댓글 작성

건전한 댓글 문화를 만들어주세요. 입력하신 정보는 댓글 관리를 위해서만 사용됩니다.

인기글HOT

1

젠틀몬스터 신사옥, ‘하우스 노웨어 서울’이 보여주는 리테일의 미래

2

나이키 슬로건, 40년 만에 바뀌었다? JUST DO IT에서 ‘WHY DO IT?’ 으로

3

[뉴스콕] 카톡이 인스타처럼? 프로필 공개 개편에 엇갈린 반응 (8월 4주차)

4

러쉬는 왜 락페에 왔을까? – 화장실에서 만난 러쉬 대표님

5

MZ세대는 왜 겪어본 적도 없는 레트로를 그리워할까? : 아네모이아 현상

최신글

40년 넘게 ‘먹히는’ 맥도날드의 마케팅: 시대를 관통한 3가지 성공 전략

요즘 광고 카피, 왜 이리 잘해? 광줍픽 월간카피 TOP 6!

[뉴스콕] ‘깐부회동’ 효과 터졌다! 젠슨 황이 만든 깐부치킨 배달앱 검색 1위 신화 (11월 1주차)

“UX는 사람에 대한 고민입니다. 그렇기에 해야만 하는 일입니다”

소마코 마케팅 트렌드 리포트 (2025년 10월)

29년차 카피라이터가 선정 일본 카피 TOP 100 ! 필사하다 오열하는 일본어 명카피 필사노트

미국을 사로잡은 맛, ‘스와이시(Swicy)’의 정체는 달콤함+ㅇㅇ함?

갑차기스러운데 유행 밈 소개해도 돼? (2025년 10월 최신 밈 모음 zip.)

얼굴로 결제하는 시대, 페이스페이 vs 페이스사인

생성형 AI로 어디까지 가능할까? 최신 AI 마케팅 사례 모음 4

뉴스레터

엄선된 트렌드 인사이트를 이메일로 받아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