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켓컬리, 게임으로 충성고객 확보 가능할까? <마이컬리팜>

0

 

 

마켓컬리, 게임으로 충성고객 확보 가능할까? <마이컬리팜>

 

▼  ▼

 

 

씨앗을 심고, 주기적으로 물을 주고, 작물이 자라나는 과정을 보며 수확까지 하는 농사가 온라인으로 이루어진다면 어떨까요? 마켓컬리는 최근 '마이컬리팜'이라는 작물 키우기 게임을 출시했습니다. 아보카도, 오이, 양파, 방울토마토 중 원하는 작물을 하나 선택한 후, 화분에 심어 매일 물을 주다 보면 어느새 훌쩍 자란 모습을 확인할 수 있는데요. 수확을 하면 그 작물이 우리 집까지 배송되는 '사이버 농사' 게임이에요. 뿐만 아니라, 재배한 수확물을 상점에서 판매할 수도 있습니다. 상점에서 작물을 판매하면 '컬리팜 포인트'를 받고, 이 포인트로 상품을 구매할 수도 있어요.

 

 

 

 

 

AAAAAAAAAAAAAAAAAAAAADCxgcASY3xJsNMj0gywQM4Zxu9LGGu2e6NtMz774puq imgAAAAAAAAAAAAAAAAAAAAAEi81kBo7JaB57liLEmHkQKeVal2Y0Gwj7VHCM8DiEnb img
출처: 마켓컬리

 

 

 

 

 

이런 '신박한' 컨셉의 게임에 대해서 소비자들의 반응은 뜨겁습니다. 게임이 출시된 지 일주일 만에 이용자 약 20만 명이 게임에 접속했고, 마켓컬리 앱 방문 횟수도 약 3배 정도 증가했거든요. 아직 서비스 출시 초기이기 때문에 마이컬리팜의 좋은 성적이 실제 마켓컬리의 매출과 연결됐다고 확신하기는 어렵지만, 데이터 분석 결과 앱 방문 횟수와 이용자들의 앱 체류 시간이 늘어난 것은 분명합니다.

 

 

 

 

 

AAAAAAAAAAAAAAAAAAAAAPdhz83sXTzhdj5xWecw8aQCovY bOmbjZEVDAon914Z imgAAAAAAAAAAAAAAAAAAAAABLX U3LuFdmSRXHRa pl9LbuS7fS3742T7Iqe0 Dkq7 img
출처: 마켓컬리

 
 

 

마켓컬리에서 이런 게임을 만들게 된 이유는 다양한데요. 앱테크 열풍을 이용해 충성 고객을 모으고, 이들의 체류시간을 늘려 사업 수익성을 높이고자 하는 게 가장 큰 이유입니다. 앱테크란, 애플리케이션과 재테크의 합성어로 스마트폰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정해진 활동을 하고, 이에 대한 리워드로 돈을 버는 재테크 방식이에요. 많이 걸을수록 포인트가 쌓이는 만보기앱부터 출석체크, 룰렛 돌리기 등 앱테크는 점점 다양해지고 있어요.

 

고물가, 고금리에 따른 경기 침체가 지속되는 상황에서 MZ세대에게 현금성 포인트를 모아 돈을 버는 앱테크는 매력적일 수밖에 없습니다. 경제적인 이유뿐만 아니라, 이른바 '갓생 살기' 열풍도 앱테크의 인기를 더하고 있어요. 지난해 HR 플랫폼 '인쿠르트'가 20대 이상 성인 남녀를 1707명을 대상으로 한 한 조사에 따르면, 응답자의 75%가 앱테크를 하고 있으며, 그중 32.3%가 '자투리 시간에도 생산적인 활동을 하고 싶어서' 앱테크를 한다고 응답했어요. 큰 시간을 들이지 않고 출퇴근 시간이나 이동 시간처럼 남는 시간을 활용하여 소액이라도 벌 수 있기 때문입니다. 시간을 허투루 쓰지 않고, 시간의 생산성을 중시하는 '갓생' 열풍의 영향도 있고요.

 

컬리 같은 이커머스의 특성상 실제로 상품을 구매하고자 하는 사람들 외에는 신규 고객 유입이 쉽지 않아요. 때문에 마켓컬리는 평소에 컬리를 잘 이용하지 않는 잠재적 고객들까지 '게임'이라는 흥미로운 요소를 통해 신규 고객으로 유입시키려는 전략을 취했습니다. 실제로 비슷한 포맷의 작물 키우기 게임인 '올팜'은 10대들도 활발히 이용했었고요. 매일 앱을 켜 무언가를 키우거나 관리하는 게임에 대한 사람들의 관심도를 포착하고, 이를 마켓컬리만의 방식으로 만들어낸 것입니다.

 

게임까지 출시하며 공격적으로 고객 잡기에 나선 마켓컬리. 아직 서비스 초기이기 때문에 좀 더 지켜봐야 할 것 같습니다.

 

 

 

오늘의 소마코 콕

✔️ 마켓컬리에서는 최근 앱으로 작물을 키우고 수확하면 실물 작물을 집으로 보내주는 '마이컬리팜'게임을 출시했습니다.
✔️ 서비스 초기이기 때문에 매출과 연결 지을 수 없지만, 출시 이후 앱 방문 횟수와 이용자들의 앱 체류 시간이 늘어난 것은 분명합니다.
✔️ 게임을 개발한 이유는 앱테크 열풍을 이용해 충성고객을 늘리고, 게임이라는 재밌는 요소를 통해 신규 고객을 유입시키기 위함이에요.

 

 


%E1%84%89%E1%85%A9%E1%84%89%E1%85%A9%E1%84%85%E1%85%A6%E1%84%90%E1%85%A5%E1%84%8B%E1%85%B5%E1%84%86%E1%85%B5%E1%84%8C%E1%85%B5 196

 

함께 읽으면 좋은 콘텐츠

댓글 0개

댓글 작성

건전한 댓글 문화를 만들어주세요. 입력하신 정보는 댓글 관리를 위해서만 사용됩니다.

인기글HOT

1

[뉴스콕] 카톡이 인스타처럼? 프로필 공개 개편에 엇갈린 반응 (8월 4주차)

2

러쉬는 왜 락페에 왔을까? – 화장실에서 만난 러쉬 대표님

3

출산율 0.75명인 시대인데… 29CM가 성수 한 복판에 이구키즈를 오픈한 이유

4

네이버에 일본 맛집이 88만 개나 떴다고? 그 뒤에 숨겨진 진짜 전략

5

러쉬가 펜타포트 락 페스티벌의 주인공이 된 이유

최신글

브랜드가 제니 제니 하는 이유 : 단순 모델을 넘어 ‘크리에이터’로서 협업하는 방식

광줍인터뷰 | SM C&C 우동수 CD 캠페인 비하인드 부터 면접 꿀팁을 묻다

비락식혜, 드디어 밥알 싹싹 긁어 먹을 수 있다니

프라다, 샤넬, 미우미우… 명품 브랜드가 문학으로 마케팅을 하는 방식 4가지

[뉴스콕] 오트밀, 방탈출, 마블런… 일상에 스며든 ‘경험’ 마케팅의 모든 것 (9월 3주차)

“단점도 말해야 해요” 인플루언서 마케팅, 진심으로 투명해야 성공한다

8~9월 최신 엔터 프로모션 모음.zip (feat. 에스파, 아이브, 엔시티 위시)

아이시스가 팝업스토어 대신 호수공원 피크닉을 선택한 이유

맥도날드는 어떻게 K-버거의 아이콘이 되었나?

넷플릭스 애드 스위트 국내 상륙, 어떻게 활용할까?

뉴스레터

엄선된 트렌드 인사이트를 이메일로 받아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