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구오구~ 팀장님의 칭찬을 받을 수 있는 좋은 기획의 3가지 포인트!

0

목차

 

210C2543573D7BCE20

 

마케팅 회사에 입사한 신입사원 A. 그에게 미션 하나가 생겼다. 기획서 1건 작성, 기한은 내일까지.

 

자료조사를 마친 A씨는 빈 슬라이드에 내용을 작성한다. 내용을 구조화하지 않고 서술하다보니, 중간 중간 방향이 엇나가거나 본래 쓰려던 내용이 빠지기도 했다. A씨는 야근 끝에 기획서 작성을 완료하고, 다음 날 상사에게 기획서를 건넨다.

 

몇 분 후 A씨는 다시 책상에 앉아 머리를 싸맨다. A씨는 마음 속으로 소리친다.

 

내 기획서의 문제가 뭔지 모르겠어!!!’

 

 

21195240573D7CAD02

 

 

대체 문제가 무엇일까요! A씨가 기획서를 쓰는 모습을 지켜보며 문제점을 찾아보기로 했습니다.

 

 

첫 번째, 그때그때의 자료조사에 의존한다.

 

주제를 정한 A씨는 인터넷으로 자료를 검색합니다. 즉석에서 찾아내는 자료들을 취합해 근거로 만들다 보니 원하는 자료를 찾지 못했을 때 기획서가 막혀버려 방향을 아예 돌리기도 했습니다.

 

 

두 번째, 구조가 없다.

 

구조가 없는 탓에 앞뒤 맥락이 맞지 않거나 내용이 분산되어 단순나열식의 기획서가 돼버렸습니다.

 

 

세 번째, 재미가 없다.

 

단순 내용 나열식의 인과관계가 없는 기획서는 작성자 본인 외의 다른 사람들에게 흥미를 줄 수 없습니다.

 

 

그럼 어떻게 해야 될까요?

 

 

2663A646573D7D691D

 

 

 

 

Point. 1  –  기획과 작성의 비중은 8:2

 

기획과 작성에 들이는 시간의 비중은 8:2로 기획에 투자하는 시간이 훨씬 많아야 합니다. 그리고 기획이 확실하면 문서화하는 데 걸리는 시간도 생각보다 오래 걸리지 않습니다. PPT가 됐든 Word가 됐든 기획을 확실히 마무리 한 후 시작하세요.

 

기획의 포인트는 주제에 대한 결론을 내리는 데에 있습니다. 판단을 내리기 위해서는 자료 수집  à  생각하기  à  단순명료화하는 단계를 반복하게 됩니다. 스마트폰, 노트북 등 자신에게 맞는 도구를 활용해 자료를 정리하는 습관을 들여야 합니다.

 

 

25749D46573D7D970B

 

 

 

 

Point. 2  –  기획의 기본구조를 잡는 간단한 방법 : SCQA

 

기획에는 핵심 메시지가 있어야 합니다. 가장 일반적인 방법인 문제해결패턴으로 기본구조를 잡고 결론을 도출해내는 방법을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SCQA는 상황(Situation), 문제(Complication), 질문(Question), 해답(Answer)의 네 단계로 이루어집니다. 이 단계를 통해 문제를 구체적으로 정의하고, 문제의 원인과 해결책을 생각하며 구체적으로 살을 붙여 논리를 전개할 수 있습니다.

 

상황(Situation)은 결국 문제가 발생하는 모습입니다. 혹은 원하는 모습과 다른 상황을 보여줄 수도 있습니다. 상황은 곧 주제, 보고하고자 하는 내용이기 때문에 핵심 사항은 상황에 들어있어야 합니다.

 

문제(Complication)는 상황을 제시한 후 현재 어떻게 진행되는지에 대한 내용입니다. 문제는 예시상황과 현재상황의 갭이 발생한 이유에 대한 질문을 유도합니다.

 

그리고 질문(Question)을 통해 당사자 입장에서 핵심 이슈를 제기합니다.

 

마지막으로 해답(Answer)의 단계에서는 근본적인 원인에 대한 답을 이끌어내야 합니다. 왜 이 답을 내려야 하는지에 대한 구체적인 근거를 확보하여 주제에 대한 결론을 확립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260F4240573D7DFD13

 

 

 

 

Point. 3  –  더 쉽게, 더 임팩트있게 : 스토리텔링

 

요즘은 서점이나 인터넷에서 흔히 들을 수 있는 단어, 스토리텔링. 그러나 기획서의 스토리텔링은 머릿속으로 그림이 그려지지 않는 것이 대부분입니다.

 

스토리텔링은 내용을 구성하는 방법이라 할 수 있습니다. 구조를 재배치하거나 극적으로 내용을 구성하여 기승전결 형식을 활용할 수도 있고, 공감과 이해를 도울 수 있는 구체적인 예시를 들어 몰입감을 증대시킬 수도 있습니다.

 

 

 

글을 마치며

 

물론 타인의 글을 통해 좋은 기획서 작성의 요령 정도는 익힐 수 있습니다. 하지만 직접 작성하고 자기만의 요령을 터득해나가는 것이 더욱 중요합니다. 좋은 기획서란 결국 무엇일까요? 메시지, 구조, 스토리가 균형을 잡아 핵심이 잘 전달될 수 있다면 그게 바로 좋은 기획서가 아닐까요?

 

 

신선미

신선미 Shin Sunmi
ManagerMarketing & Sales

마음 끌리는 일을 하며 살고 싶습니다.

smk icon m3 smk icon f3 smk icon t3

 

 

socialmarketing bottom

 

함께 읽으면 좋은 콘텐츠

댓글 0개

댓글 작성

건전한 댓글 문화를 만들어주세요. 입력하신 정보는 댓글 관리를 위해서만 사용됩니다.

인기글HOT

1

젠틀몬스터 신사옥, ‘하우스 노웨어 서울’이 보여주는 리테일의 미래

2

나이키 슬로건, 40년 만에 바뀌었다? JUST DO IT에서 ‘WHY DO IT?’ 으로

3

[뉴스콕] 카톡이 인스타처럼? 프로필 공개 개편에 엇갈린 반응 (8월 4주차)

4

러쉬는 왜 락페에 왔을까? – 화장실에서 만난 러쉬 대표님

5

MZ세대는 왜 겪어본 적도 없는 레트로를 그리워할까? : 아네모이아 현상

최신글

40년 넘게 ‘먹히는’ 맥도날드의 마케팅: 시대를 관통한 3가지 성공 전략

요즘 광고 카피, 왜 이리 잘해? 광줍픽 월간카피 TOP 6!

[뉴스콕] ‘깐부회동’ 효과 터졌다! 젠슨 황이 만든 깐부치킨 배달앱 검색 1위 신화 (11월 1주차)

“UX는 사람에 대한 고민입니다. 그렇기에 해야만 하는 일입니다”

소마코 마케팅 트렌드 리포트 (2025년 10월)

29년차 카피라이터가 선정 일본 카피 TOP 100 ! 필사하다 오열하는 일본어 명카피 필사노트

미국을 사로잡은 맛, ‘스와이시(Swicy)’의 정체는 달콤함+ㅇㅇ함?

갑차기스러운데 유행 밈 소개해도 돼? (2025년 10월 최신 밈 모음 zip.)

얼굴로 결제하는 시대, 페이스페이 vs 페이스사인

생성형 AI로 어디까지 가능할까? 최신 AI 마케팅 사례 모음 4

뉴스레터

엄선된 트렌드 인사이트를 이메일로 받아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