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 페이지’와 ‘네이버 시리즈’ 앱스토어 데이터 분석!

0

 

 

9978C94C5C173FAB03

 

 

애플의 '앱 스토어' 매출 TOP 3를 알고 계시나요? 매출 1위와 2위는 '리니지 2레볼루션'과 '리니지M'이 차례로 차지했습니다. 이미 게임 앱이 높은 매출을 내고 있다는건 이미 많은 분들이 알고 계실만한 내용일 겁니다. 그럼 '앱 스토어' 3위 앱은 무엇일까요?

 

990F57455C173CAE30

<한국 '앱 스토어' 매출 스토어 랭킹 / 18년 11월 26일 기준>

 

 

바로 '카카오 페이지' 앱 입니다! '카카오 페이지' 앱은 웹 소설, 웹툰 등 다양한 콘텐츠를 제공하는 콘텐츠 플랫폼 서비스 앱입니다. 대부분 앱 매출 상위권 기록은 게임 앱이 차지하고 있는데요. '카카오 페이지' 앱처럼 게임 외 카테고리 앱이 매출 상위권을 차지하는 것은 대단한 기록이라고 보입니다.

'카카오 페이지' 앱처럼 다양한 콘텐츠 플랫폼의 잠재력을 느꼈는지, 최근 네이버에서도 '네이버 시리즈' 앱을 통해 다양한 콘텐츠를 서비스하고 있는데요. 이번 포스팅에서는 모바일 시장 분석 서비스인 앱에이프(App Ape)을 활용하여 두 서비스의 유저 사용 동향을 살펴보겠습니다.

*해당 포스팅에 활용된 데이터는 iOS의 '앱 스토어' 데이터 기준입니다. 앱에이프(App Ape) 서비스를 사용하시면 '안드로이드' 데이터도 함께 확인 가능합니다.

 

남녀구분없이 사랑받는 콘텐츠 서비스!

 
 

994338455C173CEE22

<'네이버 시리즈' 앱과 '카카오 페이지' 앱의 설치 사용자 성별 비율 / 18년 10월 기준>

 

18년 10월 기준으로 '네이버 시리즈' 앱의 설치 사용자의 경우 여성이 50.1%, '카카오 페이지'앱은 여성 51.6%로 아주 근소하게 여성 유저의 비율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남녀 비율의 차이가 근소하여 사실 상 남녀 비율이 고루 분포되었다고 볼 수 있을 것 같습니다.

995A0C4C5C173D1033

 

<'네이버 시리즈' 앱과 '카카오 페이지' 앱의 활성사용자 성별 비율 / 18년 10월 기준 / 출처 : App Ape>

그렇다면 실제 활성 사용자 비율은 어떨까요? 동일하게 올해 10월 기준으로 살펴보겠습니다. '네이버 시리즈' 앱은 여성 활성 사용자 비율이 59%로 나타났으며, '카카오 페이지'앱의 여상 활성 자용자 비율은  59.2%로 기록되었습니다. 설치 사용자 비율은 비슷해도, 실제 활성 사용자 비율은 여성의 비율이 더욱 높은 것으로 보입니다. 

 

콘텐츠 서비스를 사용하는 연령은 

10대부터 30대까지 고루고루!

99C4AA3B5C173D4109

 

<'네이버 시리즈' 앱과 '카카오 페이지' 앱의 활성 사용자 연령대 비율 / 18년 10월 기준>

 

'네이버 시리즈' 앱과  '카카오 페이지' 앱의 활성 사용자 연령대를 살펴보면 두 앱 모두 20대에서 가장 높은 비율을 보여주고 있는데요. 연령/성별로 조금 더 자세하게 살펴보겠습니다.

남성의 경우에는 10대부터 40대까지 활성 사용자가 고루 분포된 것으로 보이며, ‘네이버 시리즈’ 앱은 10대 활성 사용자가 두번 째로 높은 연령대로 나타났습니다.  반면, ‘카카오 페이지’앱은 10대와 30대의 수치가 근소한 차이를 보여주고 있습니다.

여성의 경우에는 20대가 가장 높은 활성 사용자 비율을 보이고 있으며, 그 다음으로 10대들의 비율이 가장 높게 나타났습니다. 30대부터 50대까지의 활성 사용자 비율은 비교적 고루게 분포된 편입니다.

 
 

'네이버 시리즈' 앱과 '카카오 페이지' 앱

가장 유저들이 많이 접속하는 시간은?

 

9979AA4D5C173D8A1C

<'네이버 시리즈' 앱과 '카카오 페이지' 앱 시간대별 활성 사용자 수/ 18년 10월 기준>

 

유저들이 가장 많이 접속하는 시간은 '네이버 시리즈' 앱과 '카카오 페이지' 앱 모두 새벽 12시로 기록되었습니다. 아무래도 하루를 마무리하며 잠들기 전에 콘텐츠를 즐기기 위해 앱을 사용하는 것으로 추측되네요.

 

 

글을 마치며

앞서 확인해본 데이터를 봤을 때 콘텐츠 서비스 앱은 10대부터 30대까지 남녀 구분없이 사랑받는 것으로 보이는데요. 거기다 앱 매출까지 상위권을 기록하는 것 보면 확실히 대한민국에서 콘텐츠 서비스는 앞으로가 더 기대되는 시장으로 보입니다.

이 밖에도 '유튜브', '넷플릭스' 등으로 서비스되는 다양한 동영상 콘텐츠의 수요 또한 높아지고 있는데요. 기업 입장에서는 콘텐츠 플팻폼의 활용 또는 콘텐츠 제작을 통해 유저들에게 접근할 수 있는 고민이 더욱 필요할 것 같습니다.

 

 

 

socialmarketing bottom

함께 읽으면 좋은 콘텐츠

댓글 0개

댓글 작성

건전한 댓글 문화를 만들어주세요. 입력하신 정보는 댓글 관리를 위해서만 사용됩니다.

인기글HOT

1

젠틀몬스터 신사옥, ‘하우스 노웨어 서울’이 보여주는 리테일의 미래

2

나이키 슬로건, 40년 만에 바뀌었다? JUST DO IT에서 ‘WHY DO IT?’ 으로

3

[뉴스콕] 카톡이 인스타처럼? 프로필 공개 개편에 엇갈린 반응 (8월 4주차)

4

러쉬는 왜 락페에 왔을까? – 화장실에서 만난 러쉬 대표님

5

MZ세대는 왜 겪어본 적도 없는 레트로를 그리워할까? : 아네모이아 현상

최신글

40년 넘게 ‘먹히는’ 맥도날드의 마케팅: 시대를 관통한 3가지 성공 전략

요즘 광고 카피, 왜 이리 잘해? 광줍픽 월간카피 TOP 6!

[뉴스콕] ‘깐부회동’ 효과 터졌다! 젠슨 황이 만든 깐부치킨 배달앱 검색 1위 신화 (11월 1주차)

“UX는 사람에 대한 고민입니다. 그렇기에 해야만 하는 일입니다”

소마코 마케팅 트렌드 리포트 (2025년 10월)

29년차 카피라이터가 선정 일본 카피 TOP 100 ! 필사하다 오열하는 일본어 명카피 필사노트

미국을 사로잡은 맛, ‘스와이시(Swicy)’의 정체는 달콤함+ㅇㅇ함?

갑차기스러운데 유행 밈 소개해도 돼? (2025년 10월 최신 밈 모음 zip.)

얼굴로 결제하는 시대, 페이스페이 vs 페이스사인

생성형 AI로 어디까지 가능할까? 최신 AI 마케팅 사례 모음 4

뉴스레터

엄선된 트렌드 인사이트를 이메일로 받아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