토스는 왜 ‘금융’ 아닌 콘텐츠에 집중했을까?

0

 

토스는 왜 ‘금융’ 아닌 콘텐츠에 집중했을까?

 

 

핀테크 기업들이 스토리텔링을 승부수로 한 콘텐츠를 만들기 시작했는데요. 최근에는 카카오뱅크가 소설가 8명과 함께 에세이를 발표했어요. 이전에 배달의 민족이 음식을 가지고 푸드 에세이를 연재하거나 29CM나 현대백화점에서 소설가들과 협업했던 내용을 소개해드린 적이 있는데요. 이번에는 금융 기업인 카카오뱅크가 '돈, 에세이를 만나다'라는 제목으로, 이름만 들어도 글이 궁금해지는 유명 소설가들을 영입해서 에세이를 연재했어요. 언뜻 경제와는 거리가 있어보이는 '문학'을 가지고서 ‘금융’이라는 내용을 풀어내는 글들을 읽고 있으면, 내 생활과 직접적인 연관성을 갖는 경제에 대한 인사이트가 넓어지는 것 같아요. 

 

 

콘텐츠에 집중하고 있는 또 다른 핀테크 기업의 예시로는 대표적으로 토스가 있습니다. 토스는 2018년부터 토스피드라는 기업 블로그를 통해서 상당히 다양한 정보를 담은 콘텐츠를 생산하고 있어요. 오늘은 토스가 텍스트와 영상을 넘어 다양한 콘텐츠를 통해서 어떻게 브랜딩을 시도하고 있는지 살펴볼게요!

 

 

AAAAAAAAAAAAAAAAAAAAAIETa6PEHe2L39xPf0a7MMDgx6d372IRCCiOVvA3h5j2 img
카카오뱅크 <돈, 에세이를 만나다>

 

 

 ▸ 핀테크의 브랜딩  

 

토스피드는 무엇보다 정말 쏠쏠한 정보들을 담고 있는 금융 블로그인데요. 먼저 금융 소비자들이 알아야 하는 금융 지식에 관한 정보를 잘 정리해서 전달해준다는 것이 가장 큰 장점이에요. 최근에는 사회적 이슈가 되고 있는 전세사기에 대한 정보를 모아서 ‘전세사기 4가지 유형과 5가지 대책’이라는 글을 내기도 했고, 금리 인상이 국내에 미치는 영향이나, 최근 부동산 시장에서 이슈였던 LTV, DTI, DSR과 같은 용어들을 정리하면서 주택담보대출에 대한 정보를 주기도 하고 있습니다. 

 

 

AAAAAAAAAAAAAAAAAAAAAGB03ZPYhwLPSbZfsa8M wm 9 i4rR9BFUcXTS87ZvbT img
토스피드의 아티클

 

여기까지만 보면, 핀테크 기업이 온라인을 기반으로 정보성 금융 콘텐츠를 만들고 있다는 상당히 평범한 사실인데요. 중요한 것은 단순히 경제나 금융 지식에 대한 텍스트 기반 콘텐츠일 뿐만 아니라, 실생활에서 정말 사람들이 필요로 하는 지식들을 콘텐츠화 했다는 사실에 있어요. 예를 들어 부동산 임대차 계약서 보는 법이나, 정부의 복지정책을 정리해주는 글, 20대에 돈 관리하는 법 등등 이런 것들은 삶의 어느 순간에는 꼭 필요하지만 신뢰할 수 있는 정보를 찾기는 그만큼 어려운 주제들이죠. 

 

 

‘라이브러리’라는 카테고리에서는 좀 더 흥미있는 재미 기반의 글도 찾아볼 수 있어요. 90년대생 이후로 국민연금을 받을 수 있을까?라는 현실적인 고민들을 <나, 다니엘 블레이크>라는 영화로 풀어내 설명하기도 하고, 곽윤기 쇼트트랙 선수와 월급에 대한 이야기를 나눈 인터뷰를 싣기도 합니다. 이렇게 생활부터 부동산, 금융이슈까지 다양한 주제의 글을 카테고리화하고 정기적으로 연재하고 있는 토스는, 최근에는 유튜브에 ‘미식경제학’이라는 콘텐츠 시리즈를 시작했습니다. ‘미식’이라는 2020년대 가장 유행하고 있는 흐름을 ‘경제’를 가지고 설명하는 콘텐츠인데요. 오너 셰프이자 유투버이기도 한 공격수 셰프가 MC를 맡아서 채식, 와인, 오마카세, 국산 치즈 등등을 가지고 경제 이야기를 풀어내고 있죠. 

 

 

AAAAAAAAAAAAAAAAAAAAAL0SKX9E7v kcd9EsJ7j JflL1SemoGrNpILDzYv3h Y img
토스가 운영하고 있는 유투브 채널 머니그라피에 올라오는 미식경제학 시리즈

 

 

미식 경제학은 우선 10분내외로 짧으면서, 편집이나 연출, 이야기의 흐름이 고퀄이기 때문에 누가 보아도 잘 만든 경제 콘텐츠라는 생각이 들어요. 게다가 본격적으로 경제 이야기를 했다면 접근성이 떨어졌겠지만, ‘미식’이라는 모두의 관심사를 가지고 ‘경제’를 풀어내니 굉장히 쏠쏠하면서도 세련된 콘텐츠가 만들어졌어요.   

 

 

또 다른 중요한 점은 이 채널에서는 토스가 만들었다는 사실도 적극적으로 드러나지 않는다는 점이에요. 그만큼 브랜드 홍보나, 금융 자체에 주목하는 것이 아니라 콘텐츠에 자체에 투자하고, 콘텐츠 내적인 스토리텔링으로 소비자들을 모으고 있는 것이죠. 이렇게 콘텐츠를 생산했을 때, 콘텐츠를 보기 위해서 정기적으로 유튜브 채널이나 토스피드에 방문하는 소비자들이 생길 뿐만 아니라 브랜드가 보여주는 모습도 다양해지는 새로운 브랜딩이 만들어지는 것 같습니다. 

 

 

 

오늘의 소마코 콕! 

✔️ 문학, 유투브, 블로그를 통해 접점을 넓혀나가는 핀테크 기업의 콘텐츠들이 늘어나고 있어요.
✔️ 핀테크 기업들은 사람들의 관심사를 금융과 엮어서 콘텐츠 퀄리티에 집중한 흥미로운 콘텐츠들을 생산하고 있어요.

 

 

❕연관글 

MZ세대 금융 상품 트렌드에 있는 것? 챌린지와 ESG

가상 공간에도 은행이 있다고요? 금융권 메타버스 정리해드려요

함께 읽으면 좋은 콘텐츠

댓글 0개

댓글 작성

건전한 댓글 문화를 만들어주세요. 입력하신 정보는 댓글 관리를 위해서만 사용됩니다.

인기글HOT

1

레드오션 속 차별화 : ‘모태솔로지만 연애는 하고싶어’처럼만 하세요

2

네이버 쇼핑커넥트 오픈! 제휴 마케팅의 ‘게임 체인저’ 될까?

3

다가올 GEO 시대, 마케터는 어떻게 준비해야 할까? 7월 리마 딥다이브 클럽

4

[뉴스콕] 드디어 대중교통도 아이폰으로! 애플페이 교통카드 시작

5

혼문도 지킬 것 같은 감다살 삼성 갤럭시 광고, 삼성은 당장 서씨 케이스를 달라!

최신글

“AI 검색? AEO=SEO다” 구글 AI 검색 상위 노출 기준은 변하지 않았다

소마코 마케팅 트렌드 리포트 (2025년 7월)

보법이 다른 스마트 안경!😎 주요 브랜드별 전략 모음.zip

불황에 대응하는 미국의 3가지 브랜드 전략 보고서

생성형 AI 광고 사례2 : 야나두, Z세대의 ‘웃픈’ 공감대를 저격하다

돈키호테가 한국에 상륙한 3가지 이유

불닭볶음면의 맛잘알 마케팅 레퍼런스 모음

혼문도 지킬 것 같은 감다살 삼성 갤럭시 광고, 삼성은 당장 서씨 케이스를 달라!

[뉴스콕] 드디어 대중교통도 아이폰으로! 애플페이 교통카드 시작

‘여름의 블랙프라이데이’ 아마존이 프라임 데이를 여는 까닭은?

뉴스레터

엄선된 트렌드 인사이트를 이메일로 받아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