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슈 온 더 소마코] 2월 4주차 뉴스클리핑

0

목차

%E1%84%89%E1%85%A9%E1%84%86%E1%85%A1%E1%84%8F%E1%85%A9 2%E1%84%8B%E1%85%AF%E1%86%AF4%E1%84%8C%E1%85%AE%E1%84%8E%E1%85%A1 %E1%84%82%E1%85%B2%E1%84%89%E1%85%B3%E1%84%8F%E1%85%B3%E1%86%AF%E1%84%85%E1%85%B5%E1%84%91%E1%85%B5%E1%86%BC


1. 페이스북, 스마트워치 만든다

 

페이스북이 이동통신 기능을 탑재한 안드로이드 스마트워치를 개발 중이며 내년 중 출시할 계획이라는 소식이 나왔다. 이 제품은 인스타그램과 페이스북 메신저 등 페이스북의 소셜 네트워크(SNS) 기반 메시지를 주고받으며 건강·피트니스 관련 기능을 제공하는 데 특화된 기기로 만들어진다. 페이스북은 수년째 디지털 기기 제조·판매 사업을 지속하고 있다. 지난 2018년 인공지능(AI) 스마트스피커 '포털'을 선보였고, 가상현실(VR) 기기 제조사 오큘러스를 인수한 이래로 VR 기기 시리즈를 꾸준히 선보이기도 했다. 자체 기기 개발과 상용화를 지속하는 배경에는 핵심 사업인 광고의 수익기반 보호라는 목적이 자리 잡고 있다.

 

출처: www.ajunews.com/view/20210213174910839


2. 구글·페북 광고에 최대 10% 과세

 

미국 내에서는 처음으로 메릴랜드주(州)가 구글과 페이스북 등 빅테크 기업들이 얻는 디지털 광고 수익에 최대 10%까지 세금을 부과하기로 했다. 미국 인터넷기업들이 속한 인터넷협회는 법적 대응을 예고했지만, 이미 유럽 각국에서 이와 유사한 디지털서비스세(DST)가 확산하고 있는 만큼 이번 조치가 미국 내에서 더 빠르게 확산될 수 있다는 관측도 나오고 있다. 일각에서는 이로 인해 빅테크기업들이 이 같은 과세 부담을 인터넷 광고 서비스 대금에 추가함으로써 광고주나 소비자들에게 전가할 수 있다는 우려도 나오고 있다.

 

출처: www.edaily.co.kr/news/read?newsId=01390726628950192&mediaCodeNo=257


3. 카카오, 클라우드 라이브방송 플랫폼 준비

 

카카오가 클라우드 기반 라이브방송 플랫폼을 출시한다. 코로나 19 이후 비대면 서비스 핵심 수단으로 급부상한 라이브 방송 솔루션 사업을 통해 기업용 클라우드 시장에서 경쟁사 추격을 가속화할 전망이다. 1업계에 따르면 카카오의 클라우드 기반 인공지능(AI)·기업 간 거래(B2B) 솔루션 사업 자회사 카카오 엔터프라이즈는 '카카오 i 커넥트 라이브(Kakao i Connect Live)'라는 이름의 새로운 클라우드 서비스 또는 솔루션 출시를 준비하고 있다. 카카오 i 커넥트 라이브는 카카오엔터프라이즈가 리모트 몬스터의 기존 사업을 '리브랜딩'해 제공하려는 서비스로 확인됐다. 앞서 공개된 기업용 서비스 플랫폼 브랜드 '카카오 i 커넥트(Kakao i Connect)' 상품군에 클라우드 기반 방송·통신용 솔루션으로 편입될 것으로 보인다.

 

출처: www.ajunews.com/view/20210213082617717


4. 미래의 '큰 손' MZ세대 겨냥한 '숏케팅'이 뜬다

 

숏(short)과 마케팅(marketing)의 합성어인 '숏케팅'이 MZ세대에게 주목받고 있다. 단기간 내 화제성을 이용해 브랜드 인지도를 높이는 일명 '치고 빠지기' 형태의 마케팅이 인스타그램 등과 같은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SNS)를 중심으로 유행 중이다. 트렌드에 민감하고 유머러스한 것을 좋아하는 MZ세대를 겨냥한 브랜드들의 참신한 마케팅 시도는 계속돼왔다. 커뮤니티를 중심으로 유행하던 재미있는 사진이나 문구 등 유행 중인 콘텐츠, 이른바 '밈'을 제품에 적용하는 것이 그 예다. 대표적으로 지난해 가수 비의 곡인 '깡'이 유명세를 타자 농심의 새우깡이 비를 광고모델로 기용했다. 밈은 유행 지속 기간은 매우 짧은 것이 특징이다.

 

출처: www.edaily.co.kr/news/read?newsId=01308726628951176&mediaCodeNo=257


5. '공해' 지적받은 지하철 광고 늘린다

 

서울시가 박원순 서울시장 재임 시절 추진한 지하철 상업광고 축소 정책을 뒤엎고, 광고 수익 회복에 나서기로 했다. 서울교통공사 적자가 올해 1조 6000억 원에 이를 것으로 전망되는 등 만성적 재정난에 시달리는 점을 고려한 조치다. 다만 당초 감축 정책의 주요 배경이 된 ‘광고 공해’ 문제가 재현될 수 있다는 지적도 나온다. 서울시는 이 같은 우려를 감안해 ‘성형 등 상업광고는 최소화한다’는 방침을 공사에 함께 전달했다고 한다.

 

출처: news.khan.co.kr/kh_news/khan_art_view.html?art_id=202102162127015

함께 읽으면 좋은 콘텐츠

댓글 0개

댓글 작성

건전한 댓글 문화를 만들어주세요. 입력하신 정보는 댓글 관리를 위해서만 사용됩니다.

인기글HOT

1

젠틀몬스터 신사옥, ‘하우스 노웨어 서울’이 보여주는 리테일의 미래

2

나이키 슬로건, 40년 만에 바뀌었다? JUST DO IT에서 ‘WHY DO IT?’ 으로

3

[뉴스콕] 카톡이 인스타처럼? 프로필 공개 개편에 엇갈린 반응 (8월 4주차)

4

러쉬는 왜 락페에 왔을까? – 화장실에서 만난 러쉬 대표님

5

MZ세대는 왜 겪어본 적도 없는 레트로를 그리워할까? : 아네모이아 현상

최신글

40년 넘게 ‘먹히는’ 맥도날드의 마케팅: 시대를 관통한 3가지 성공 전략

요즘 광고 카피, 왜 이리 잘해? 광줍픽 월간카피 TOP 6!

[뉴스콕] ‘깐부회동’ 효과 터졌다! 젠슨 황이 만든 깐부치킨 배달앱 검색 1위 신화 (11월 1주차)

“UX는 사람에 대한 고민입니다. 그렇기에 해야만 하는 일입니다”

소마코 마케팅 트렌드 리포트 (2025년 10월)

29년차 카피라이터가 선정 일본 카피 TOP 100 ! 필사하다 오열하는 일본어 명카피 필사노트

미국을 사로잡은 맛, ‘스와이시(Swicy)’의 정체는 달콤함+ㅇㅇ함?

갑차기스러운데 유행 밈 소개해도 돼? (2025년 10월 최신 밈 모음 zip.)

얼굴로 결제하는 시대, 페이스페이 vs 페이스사인

생성형 AI로 어디까지 가능할까? 최신 AI 마케팅 사례 모음 4

뉴스레터

엄선된 트렌드 인사이트를 이메일로 받아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