손님, 플레이리스트 영수증 드릴까요?

0

 

 

 

AAAAAAAAAAAAAAAAAAAAAMtQd2 i6MQENhgGxp0tq 9qE fZ3cNrTRapWgwFR0EV img
ⓒReceiptify

 

최근 트위터와 각종 커뮤니티에서 유행처럼 번지고 있는 '음악 영수증'. Receiptify 홈페이지에 애플 뮤직 또는 스포티파이 계정으로 로그인하면 1주일, 6개월, 1년 단위로 내가 많이 들어온 음악을 영수증 형태로 저장하게 해줍니다. 그 영수증을 받은 이들이 SNS에 끊임없이 인증하고 있고요. 그렇다면 여기서 질문 번뜩입니다! 2030 세대는 왜 자신이 자주 들어온 음악을 인증하길 좋아하게 된 걸까요? 리십티파이의 어떤 점이 2030 세대의 마음을 사로잡은 걸까요? 누가 시키지 않았는데도 주도적으로 영수증 인증을 이어가는 트렌드를 크게 세 가지로 분석해 보았습니다.

 

 

 

01. 경험형 콘텐츠 제공

 

한 대학에서 실험을 진행했습니다. A 그룹에게 그냥 초콜렛을 주고, B 그룹에겐 초콜렛 껍질을 특별한 방법으로 벗겨먹도록 했죠. 그 뒤로 초콜렛이 맛있는지 물어봤어요. 어떻게 되었느냐고요? '초콜렛이 맛있다'고 대답한 응답이 A 그룹보다 B 그룹에서 더 높게 나타났답니다. 결국 이 실험에서는 이러한 메시지를 담겨 있어요. 우리가 어떤 행위를 할 때 평소처럼 습관적인 방식이 아닌, 하나의 특별한 경험으로 받아들일 때 훨씬 더 강렬하게 인식하고 만다는 것을요. 

 

사실 리십티파이의 영수증도 따지고 보면 “내가 특정 기간 동안 자주 들은 노래가 뭐지?”에 대한 대답을 확인하는 것에 불과합니다. 단순히 통계로 확인할 수 있는 내용이기도 하고요. 하지만 궁금증을 자아내고, 결과를 기다리고, 영수증이라는 하나의 비주얼적인 결과물로 받아들이는 그 과정이 하나의 경험이 되면서 결국 사용자에게 '즐거움'이라는 강렬한 인식을 주게 되는 거죠. 별 게 아닌데도 재미있는 일들을 한번 돌이켜 보세요. 그것도 하나의 경험이 되고 있진 않나요?

 

 

AAAAAAAAAAAAAAAAAAAAAOSvgeXsX6IAYqXO9yOxdXitVF4iIA6IvJeXURrYdW 6 img
ⓒReceiptify

 

 

02. 아날로그로 전환된 디지털

 

MZ세대 사이로 강하게 불고 있는 레트로 열풍, 아시나요? 그 시대를 살아본 적 없던 이들까지 7080을 향수하고 90년대의 힙함을 그리워합니다. 이상할 정도로 과거로의 회귀에 환호하는 요즘이에요. 실제로 20대 사이에 턴테이블 소비가 늘고 있다고 하는데요, 그 이유를 살펴보니 스트리밍 어플에서 손가락을 몇 번 터치하면 원하는 음악을 바로 얻을 수 있는 것과 달리 턴테이블은 그보다 조금 더 오래, 많이, 여러 번의 단계를 거쳐야만 원하는 것을 얻을 수 있어서 매력적이라고 합니다. 

 

어떻게 보면 '겨우 얻어낸 성과의 만족감'이 더 크다고 볼 수 있어요. 이 관점으로 보면 음악 영수증도 비슷합니다. 자주 듣는 노래를 영수증으로 얻기까지 조금 더 오랜 시간과 많은 단계를 거쳐야 하는데, 그것을 지나는 동안 이용자의 설렘과 궁금증은 더 커질 수밖에 없죠. 무엇보다 영수증의 종이 질감과 폰트, 감성 등을 그대로 구현한 것도 디자인적으로 MZ세대의 마음을 사로잡은 데 큰 역할을 한 듯 하네요. 

 

AAAAAAAAAAAAAAAAAAAAAOY2lhSPTj8bmndI1LX iqJTI2Mq75VeFlYklC81vGb img
ⓒReceiptify

 

 

03. 나만의 기록, 나의 근황

 

무엇보다 음악 영수증은 그동안 내가 무의식적으로 좋아해온 것을 확인시켜준다는 점에서 MZ세대의 이목을 끌었습니다. MBTI가 비슷한 이유로 많은 각광을 받았는데요, MZ세대는 잘 몰랐던 자기 자신에 대해 알아가고 분석받기를 굉장히 즐겨하는 편입니다. 일종의 캐릭터 해석인 셈이죠. 일상에서 음악을 고를 때 비슷한 곡을 선택해 왔더라도, 하나의 객관적인 결과로 받아보는 건 또 다른 즐거움과 신기함을 주니까요.

 

다시 말해서 무의식에 담긴 자신의 취향과 선호를 하나의 기록 수단으로 파헤쳐 볼 수 있다는 점에서 음악 영수증이 2030 세대로부터 뜨거운 관심을 받았다고 할 수 있겠어요. 하나의 콘텐츠 안에서도 MZ세대가 어떤 요소로부터 즐거움을 얻고 나누는지 다양하게 분석해 볼 수 있겠죠? 

 

함께 읽으면 좋은 콘텐츠

강남언니 바비톡 성형어플 광고사례 비교

댓글 0개

댓글 작성

건전한 댓글 문화를 만들어주세요. 입력하신 정보는 댓글 관리를 위해서만 사용됩니다.

인기글HOT

1

레드오션 속 차별화 : ‘모태솔로지만 연애는 하고싶어’처럼만 하세요

2

네이버 쇼핑커넥트 오픈! 제휴 마케팅의 ‘게임 체인저’ 될까?

3

다가올 GEO 시대, 마케터는 어떻게 준비해야 할까? 7월 리마 딥다이브 클럽

4

[뉴스콕] 드디어 대중교통도 아이폰으로! 애플페이 교통카드 시작

5

혼문도 지킬 것 같은 감다살 삼성 갤럭시 광고, 삼성은 당장 서씨 케이스를 달라!

최신글

시술 정보 앱 최강자는? 바비톡 VS 강남언니 성형 정보 어플 광고

[뉴스콕] ‘진’짜 나왔다…BTS 진, 동원참치 새 얼굴로 (8월 1주차)

“AI 검색? AEO=SEO다” 구글 AI 검색 상위 노출 기준은 변하지 않았다

소마코 마케팅 트렌드 리포트 (2025년 7월)

보법이 다른 스마트 안경!😎 주요 브랜드별 전략 모음.zip

불황에 대응하는 미국의 3가지 브랜드 전략 보고서

생성형 AI 광고 사례2 : 야나두, Z세대의 ‘웃픈’ 공감대를 저격하다

돈키호테가 한국에 상륙한 3가지 이유

불닭볶음면의 맛잘알 마케팅 레퍼런스 모음

혼문도 지킬 것 같은 감다살 삼성 갤럭시 광고, 삼성은 당장 서씨 케이스를 달라!

뉴스레터

엄선된 트렌드 인사이트를 이메일로 받아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