망 사용료, 대체 뭐예요?

0

 

 

 망 사용료, 대체 뭐예요? 

 

▼  ▼

 

 

AAAAAAAAAAAAAAAAAAAAAKTBw8QV96j9REqEFvvZ5GsVBndo63Guw9A9wapI5Sa0 img

 

 

▸ 망 사용료가 뭐예요? 

 

 

'망 사용료'라는 말, 어디선가 한 번은 들어봤을 거예요. 특히 최근 뜨거운 감자로 떠오르면서 많은 이야기가 등장하고 있어요. 아주 간략하게 정리하자면 망 사용료는 인터넷 트래픽을 일으키는 만큼 그 부담금을 지불하라는 말이에요. 여기까지 보면 별 문제 없어보이는데 왜 이곳저곳에서 이야기가 나오는 걸까요? 아주 간단하게 우리 일상을 비교해볼게요. 우리가 인터넷을 사용하기 위해서는 SK, KT, LG에서 인터넷 회선을 깔고 서비스를 제공받잖아요. 그 인터넷 사용 요금은 사용자인 소비자가 내고 있고요. 그런데 이 망 사용료는 조금 달라요. 넷플릭스나 유튜브처럼 아주 많은 사람이 사용하는 서비스는 트래픽 이용료는 소비자가 아닌 서비스 제공자가 내야 해요. 높은 트래픽을 요구할 수밖에 없는 영상, 게임 등 플랫폼은 사람들을 들이면 들일 수록 망 사용료에 대한 부담감이 커지기 시작했다고 해요. 

 

 

AAAAAAAAAAAAAAAAAAAAAHekDi1b2HjZsp4jlbUwcP84Dcv42V30y28WrYqDLiKn img
ⓒ연합뉴스

 

 

 

▸ 왜 갈등이 일어난 거예요? 

 

 

실제로 네이버, 카카오 등 국내 대형 콘텐츠 기업은 연간 망 사용료를 적지 않은 금액으로 지불하고 있었어요. 반면 외국에서 온 구글(유튜브), 넷플릭스, 메타(페이스북) 등은 거대 트래픽을 사용함에도 미국 통신사에 망 사용료를 지불하고 있기 때문에 국내에서는 망 사용료를 지불하고 있지 않은 것이죠. 특히 4K 초고화질 영상 시대를 맞아 데이터 트래픽이 증가하면서 이 갈등은 더욱 커지기 시작했다고 합니다. 하지만 콘텐츠 기업들은 현재 반대 의견을 제기하고 있어요. 이들도 미국 통신사에 망 사용료를 지불하고 있으니까요. 또 이 망 사용료를 적용한다고 가정하면, 네이버, 카카오 등 국내 기업들도 똑같이 외국의 망 사용료를 이중으로 납부해야 한다는 의문이 제기되기도 합니다

 

 

AAAAAAAAAAAAAAAAAAAAAFRrvcSNgu5vDK3r4pv8ARTvwD2UMC54tDqkdU HBFlv img
ⓒ동아일보

 

 

콘텐츠 기업의 입장과 인터넷 통신사의 입장을 간략하게 정리하면 아래와 같아요.

 

콘텐츠 기업: “이미 개별 소비자에게 인터넷 요금을 받고 있는데 콘텐츠 기업이 또 망 사용료를 내는 건 이중과금 아닌가요?”

VS

인터넷 통신사: “콘텐츠 공룡들로 해저케이블 설치 등 국내망 증설비용이 막대한데, 우리 네트워크 자원을 사용한다면 그 대가는 지불해 주세요~” 

 

 

 

▸ 다양한 의견들, 앞으로 지켜보기 

 

 

이러한 망 사용료 분쟁은 아직 팽팽하게 접전을 만들며 명확한 답이 나오지 않은 상태예요. 결과가 어떻게 될지 조금 더 적극적으로 기다려봐야 하는 단계입니다. 다만 한국의 망 사용료 분쟁은 전 세계적으로 주목을 받고 있어요. 대거 콘텐츠 기업 대부분이 미국 기업인 관계로 한미 통상 이슈로 옮겨질 가능성이 높고요, 이 사례에 따라 많은 변화가 생겨날 수 있기 때문에 다들 예의주시하는 분위기를 띄고 있습니다. 한 측면에서는 망 사용료가 적용되면 콘텐츠 기업들이 결국 그 비용을 소비자에게 넘길 거라는 추측을 하기도 하고요. 또 다른 측면에서는 망 사용료로 인해 더 양질의 트래픽을 이용할 수 있을 거라는 추측이 있기도 합니다.  미디어와 콘텐츠와 떼려야 뗄 수 없는 이 세상에서 망 사용료에 관한 팽팽한 접전 속에서 여러분의 의견은 어떤가요?

 

 

*참고 자료

https://youtu.be/_hsoLlyiQkc

오늘의 소마코 콕! 

✔️ 게임, 영상 등 다양한 미디어 콘텐츠에 따라 트래픽이 증가하면서, 넷플릭스나 구글 등 외국 콘텐츠 기업에게까지 망 사용료를 지불하게 하자는 이야기가 등장하기 시작했어요. 이게 바로 '망 사용료 적용'이에요.
✔️ 이에 따라 콘텐츠 기업들은 이미 인터넷 소비자들이 인터넷 사용료를 지불하고 있고, 또 우리도 미국 통신사에 망 사용료를 내고 있기 때문에 “망 사용료를 두 번 과징하는 것은 불합리하다”며 팽팽하게 맞서고 있는 상태예요.
✔️ 그럼에도 SK, KT 등 인터넷 기업들은 트래픽을 과다하게 사용하고 있으니 일정 비용을 부담하라고 제안하고 있어요.

 

 

❕연관글 

당신의 취향을 사로잡는 토종 OTT 왓챠의 마케팅

엔데믹에 대처하는 플랫폼의 자세

 


%E1%84%89%E1%85%A9%E1%84%89%E1%85%A9%E1%84%85%E1%85%A6%E1%84%90%E1%85%A5%E1%84%8B%E1%85%B5%E1%84%86%E1%85%B5%E1%84%8C%E1%85%B5 12

 

 

함께 읽으면 좋은 콘텐츠

댓글 0개

댓글 작성

건전한 댓글 문화를 만들어주세요. 입력하신 정보는 댓글 관리를 위해서만 사용됩니다.

인기글HOT

1

레드오션 속 차별화 : ‘모태솔로지만 연애는 하고싶어’처럼만 하세요

2

네이버 쇼핑커넥트 오픈! 제휴 마케팅의 ‘게임 체인저’ 될까?

3

다가올 GEO 시대, 마케터는 어떻게 준비해야 할까? 7월 리마 딥다이브 클럽

4

[뉴스콕] 드디어 대중교통도 아이폰으로! 애플페이 교통카드 시작

5

혼문도 지킬 것 같은 감다살 삼성 갤럭시 광고, 삼성은 당장 서씨 케이스를 달라!

최신글

“AI 검색? AEO=SEO다” 구글 AI 검색 상위 노출 기준은 변하지 않았다

소마코 마케팅 트렌드 리포트 (2025년 7월)

보법이 다른 스마트 안경!😎 주요 브랜드별 전략 모음.zip

불황에 대응하는 미국의 3가지 브랜드 전략 보고서

생성형 AI 광고 사례2 : 야나두, Z세대의 ‘웃픈’ 공감대를 저격하다

돈키호테가 한국에 상륙한 3가지 이유

불닭볶음면의 맛잘알 마케팅 레퍼런스 모음

혼문도 지킬 것 같은 감다살 삼성 갤럭시 광고, 삼성은 당장 서씨 케이스를 달라!

[뉴스콕] 드디어 대중교통도 아이폰으로! 애플페이 교통카드 시작

‘여름의 블랙프라이데이’ 아마존이 프라임 데이를 여는 까닭은?

뉴스레터

엄선된 트렌드 인사이트를 이메일로 받아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