명품 구독하고, 플랫폼으로 사는 MZ세대

0

 

 명품 구독하고, 플랫폼으로 사는 MZ세대 

 

▼  ▼

 

 

MZ 세대를 중심으로 소비 심리가 양분화되고 있다는 점을 지난 글을 통해서 이야기했는데요. 평소에는 절약하면서도 하이엔드 제품이나 오마카세나 호텔 뷔페 같은 소비에서 2030 세대가 차지하는 비율이 늘어나고 있죠. 이미 하이엔드 브랜드나 백화점이 Z세대를 주목하기도 하고요. 이렇게 젊은 세대의 명품 소비가 늘어났다고 할 때, 요즘 명품과 관련한 트렌드는 뭘까요? 아무래도 구독과 플랫폼이라는 방법으로 명품을 이용한다는 것이 새로운 소비 습관이라고 할 수 있을 것 같아요. 

 

 

 

▸새로운 소비 습관 1 '구독' 

 

먼저 최근 명품 구독 서비스 중에서 최초로 '시계' 서비스가 등장했어요. LF의 하이엔드 편집숍인 라움(RAUM)에서 운영하는 프리미엄 시계 매장 라움워치가 있죠. 여기에서 시작한 O4O(Online to Online) 서비스인 '프리미엄 렌탈 서비스'가 명품 시계를 구독할 수 있는 최초의 서비스예요. 라움워치의 이 서비스는 시계의 등급에 따라서 월 100만에서 1000만 원까지의 금액으로 다양한 명품 시계를 구독할 수 있는 방식인데요. LF 홈페이지 명품탭에서는 VR영상으로 라움워치가 보유하고 있는 시계들을 구경할 수도 있는데요. 아래의 이미지들이 VR영상에서 제공하는 이미지들이에요.

 

 

AAAAAAAAAAAAAAAAAAAAABlxsVHAWudPKpQI3hlYU4oRE4bjWGQw4EhZWFYiH pQ imgAAAAAAAAAAAAAAAAAAAAAM9FPsIWerbeRnkrFVQ9TrIJ9Y3N8 SXN7u7dlwF2U W img
출처: 라움워치 명품관 VR영상

 

 

그런데 명품을 한번 소비해서 평생 쓰는 개념으로 많이들 인식하고 있는데요. 대를 걸쳐서 물려주기도 하는 물건이고요. 명품을 구매하는 것이 아니라 구독한다는 사실이 상당히 생소하게 느껴지기도 하죠. 구독은 구독 기간이 종료되면 다시 반납을 해야 하니, 어떻게 보면 높은 금액의 구독료를 납부하고 실제 물건을 소유하지는 못한다는 개념이 낯설기도 해요.

 

 

AAAAAAAAAAAAAAAAAAAAAB4 2bKaTdgiRM8euplCF4pi44TW68h78Roc2CrHtCXX imgAAAAAAAAAAAAAAAAAAAAABDHxitXe IuA8tWsqV3TZF6OrakQH73VTycq3fSQKud img
출처: 라움워치 명품관 VR 영상

 

 

그러나 이를 낯설게 바라보기보다는 그만큼 '구독 서비스'에 대한 수요와 인식이 달라졌다는 사실을 기억할 필요가 있어요. 구독이 주는 경험의 가치가 소유 자체보다 훨씬 중요하게 느껴지는 것이죠. 소유하면 1개의 제품만 경험할 수 있지만, 구독을 통해서는 계속해서 다양한 제품을 경험할 수 있고 그 경험 자체가 나에게 주는 이득이 훨씬 크다는 것이기 때문이에요. 

 

 

▸새로운 소비 습관 2 '플랫폼'

 

다른 한편에서는 플랫폼으로 명품을 구매하는 거래량이 훨씬 늘었어요. 2030대 여성들이 많이 이용하는 패션 플랫폼 에이블리가 명품 카테고리로 사업을 확장할 정도로 국내에서 명품 시장이 훨씬 커지고 젊어지고 있습니다. 플랫폼은 가격이나 브랜드의 다양성, 그리고 국내에 없는 제품들에 대해서도 접근성이 좋기 때문에 이용하는 사람들이 많아지고 있어요.

 

 

 

AAAAAAAAAAAAAAAAAAAAANytesSqdBPN75c15 p2r7G8kw57xSE6dZpUMgoncJ7R imgAAAAAAAAAAAAAAAAAAAAAAf2nIQAylWOWv7D4rz0p3cjrvnjRMFRDvq5f4ynP9ax img
출처: 발란, 트렌비의 홈페이지

 

 

명품 플랫폼이 모두 같은 방식으로 운영되는 것은 아니에요. 가령 플랫폼 순위로 1~3위를 하고 있는 트렌비, 머스트잇, 발란을 보면 트렌비는 구매대행 서비스라고 볼 수 있어요. 고객이 주문을 하면 해외에서 명품을 구매해 배송해주는 형태인 것이죠. 반면 머스트잇과 발란은 오픈마켓의 개념인데요. 판매자와 구매자를 매칭해서 구매가 이루어져요. 최근 명품 플랫폼에서 가품 논란 등의 이슈가 종종 발생하기도 했지만, 앞서 말한 플랫폼 구매의 장점이 확실하다 보니 세 플랫폼뿐 아니라 전체적으로 플랫폼 거래가 활발해지고 있어요. 

 

 

오늘은 명품&하이엔드 소비의 새로운 선두 주자가 된 MZ세대가 명품을 이용하는 방법인 '구독'과 '플랫폼'을 알아보았어요. 젊은 세대에게 익숙한 구독 서비스와 플랫폼이라는 소비 습관이 명품과 만나서 새로운 트렌드를 만들었는데요. 그런 점에서 사업 분야 자체보다 이 방식이 앞으로도 다양한 분야에 접목될 가능성을 기억해두면 좋을 것 같아요. 

 

 

 

 

📌오늘의 소마코 콕! 

✔️ MZ 세대 하이엔드 소비의 새로운 습관은 구독과 플랫폼이에요.
✔️ 경험을 중시하기 때문에 명품 구독 서비스도 활발해요. 라움에서는 명품 시계 구독 서비스를 론칭했어요.  
✔️ 플랫폼으로 명품을 구매하는 장점 때문에, 가품 논란 등에도 플랫폼 거래가 늘어나고 있어요.

 

 

 

❕연관글 

세컨핸드가 왜 힙해요?(2)-글로벌 세컨핸드 플랫폼 동향 알려드려요

세컨핸드가 왜 힙해요?(1)-백화점도 픽한 세컨핸드 브랜드

 


%E1%84%89%E1%85%A9%E1%84%89%E1%85%A9%E1%84%85%E1%85%A6%E1%84%90%E1%85%A5%E1%84%8B%E1%85%B5%E1%84%86%E1%85%B5%E1%84%8C%E1%85%B5 34

 

함께 읽으면 좋은 콘텐츠

댓글 0개

댓글 작성

건전한 댓글 문화를 만들어주세요. 입력하신 정보는 댓글 관리를 위해서만 사용됩니다.

인기글HOT

1

레드오션 속 차별화 : ‘모태솔로지만 연애는 하고싶어’처럼만 하세요

2

네이버 쇼핑커넥트 오픈! 제휴 마케팅의 ‘게임 체인저’ 될까?

3

다가올 GEO 시대, 마케터는 어떻게 준비해야 할까? 7월 리마 딥다이브 클럽

4

[뉴스콕] 드디어 대중교통도 아이폰으로! 애플페이 교통카드 시작

5

돈키호테가 한국에 상륙한 3가지 이유

최신글

“AI 검색? AEO=SEO다” 구글 AI 검색 상위 노출 기준은 변하지 않았다

소마코 마케팅 트렌드 리포트 (2025년 7월)

보법이 다른 스마트 안경!😎 주요 브랜드별 전략 모음.zip

불황에 대응하는 미국의 3가지 브랜드 전략 보고서

생성형 AI 광고 사례2 : 야나두, Z세대의 ‘웃픈’ 공감대를 저격하다

돈키호테가 한국에 상륙한 3가지 이유

불닭볶음면의 맛잘알 마케팅 레퍼런스 모음

혼문도 지킬 것 같은 감다살 삼성 갤럭시 광고, 삼성은 당장 서씨 케이스를 달라!

[뉴스콕] 드디어 대중교통도 아이폰으로! 애플페이 교통카드 시작

‘여름의 블랙프라이데이’ 아마존이 프라임 데이를 여는 까닭은?

뉴스레터

엄선된 트렌드 인사이트를 이메일로 받아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