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ack to 1970’s! 유스컬처의 공간

0

 

 

Back to 1970’s! 유스컬처의 공간

 

▼  ▼

 

 

 

 

 

자유주의와 개인주의, 독자적인 개성의 아름다움 등을 강조하던 1970년대 미국에는 강렬한 색감 대비와 레트로 풍 디자인을 조명한 할리우드 무드가 유행이었어요. 이러한 비주얼 트렌드는 젊음과 자유를 상징했고, 일종의 유스 컬처를 크게 일궈냈어요. 특히 피지컬 에듀케이션에서 운영하는 멀티 엔터테인먼트 공간인 핍스홈(Phyps Home)은 1970년대의 시대 정신을 잘 구현한 사례인데요. 핍스홈은 어떻게 현대의 MZ세대에게 매력적으로 어필할 수 있었을까요?

 

 

 

 

AAAAAAAAAAAAAAAAAAAAAIIq5o9toG22ql dWQhZo7l3MkwCY1m Mk5Gx1670fsY img
ⓒCOURTESY OF PHYSICAL EDUCATION DEPARTMENT

 

 

 

신용산역 부근에 위치한 핍스홈은 피지컬에듀케이션만의 세계관을 담아 구현한 공간이에요. 이층 집으로 보이는 외관은 안정감과 평온함을 북돋아 줍니다. 온화한 이미지와 색감으로 노스탤지어한 감성을 강조하기도 하고요. 2030 세대가 선호하는 정갈하고 깔끔한 외관 이미지, 통창으로 들여다 보이는 내부는 아늑한 분위기를 고조시키죠. 건물 안으로 들어서는 순간, 진한 커피 향이 쏟아지면서 카페의 안온함을 느낄 수 있어요.

 

 

 

 

 

AAAAAAAAAAAAAAAAAAAAAPzqUn8Qs G DOonlITNCWjjod jigEZCC 6DUxDBbSx imgAAAAAAAAAAAAAAAAAAAAAFFE3 MklC5G5Iyw5DvDEAx17lNGPn3MgLnOAw4iQB3D img
ⓒCOURTESY OF PHYSICAL EDUCATION DEPARTMENT

 

 

 

 

공간을 반기는 건 바로 래리 클락(Larry ClarK)의 작품들입니다. 래리 클락은 고통스러운 청춘과 반사회적 젊음을 상징하는 작가이자 영화감독으로서 1995년 <키즈>를 비롯하여 <또다른 천국>(1998), <웨서스 락커스>(2005), <네이키드 청춘>(2014), <어 데이 인 어 라이프>(2014) 등 다양한 작품을 통해 미국 특유의 자유와 해방, 경계 없음을 드러냈어요. 스트릿 패션 브랜드 수프림(Supreme)과 협업한 적도 있고요. 핍스홈은 래리 클락의 작품을 통해 1970년대 젊은이들의 예술적 자율성과 해방, 표출을 드러냈어요.

 

 

 

 

 

AAAAAAAAAAAAAAAAAAAAAG jXkzU10scWWtzPqMKVqzIh6oUWJbpE7qkb2OplFkm img
ⓒCOURTESY OF PHYSICAL EDUCATION DEPARTMENT

 

 

 

 

2층은 욕실부터 서재를 모두 갖추고 있어요. 서재의 레트로풍 가구들은 미드 센추리 가구 수입 브랜드 보테가 디앤지(Bottega Di Enngi)를 사용했고요. 흘러가 버린 과거의 아름다움을 표현하는 가구, 운동 기기, 소품들이 배치되어 있어요. 안쪽에 위치한 침실은 블랭킷, 타월 등 래리 클락을 상징하는 굿즈를 통해 다채로운 볼거리를 선사해요. 화사한 욕실 또한 알보우, 씨드키퍼 등 2030 세대의 호응을 얻는 힙하고 매력적인 브랜드로 가득 차 있죠.

 

 

 

 

 

AAAAAAAAAAAAAAAAAAAAAKfxu9eYJKs4FIE4kFocSEEIX4dCrbGiR1y2sCIbUtmW img
ⓒCOURTESY OF PHYSICAL EDUCATION DEPARTMENT

 

 

 

 

오늘의 소마코 콕! 

✔️ 신용산역 부근에 위치한 핍스홈은 1970년대의 유스컬처를 담아낸 공간이에요.
✔️ 특히 아티스트 래리 클락의 작품을 통해 1970년대의 젊음과 자유를 표현했어요.
✔️ 핍스홈이 MZ세대의 힙한 감성 코드를 건드린 이유, 이젠 아시겠죠?

 

❕연관글

[ 입소문 팝업스토어] 전통시장에 매장을 오픈한 LG의 전략

울창한 숲에서 하룻밤

 


%E1%84%89%E1%85%A9%E1%84%89%E1%85%A9%E1%84%85%E1%85%A6%E1%84%90%E1%85%A5%E1%84%8B%E1%85%B5%E1%84%86%E1%85%B5%E1%84%8C%E1%85%B5 68

 

함께 읽으면 좋은 콘텐츠

댓글 0개

댓글 작성

건전한 댓글 문화를 만들어주세요. 입력하신 정보는 댓글 관리를 위해서만 사용됩니다.

인기글HOT

1

젠틀몬스터 신사옥, ‘하우스 노웨어 서울’이 보여주는 리테일의 미래

2

나이키 슬로건, 40년 만에 바뀌었다? JUST DO IT에서 ‘WHY DO IT?’ 으로

3

[뉴스콕] 카톡이 인스타처럼? 프로필 공개 개편에 엇갈린 반응 (8월 4주차)

4

러쉬는 왜 락페에 왔을까? – 화장실에서 만난 러쉬 대표님

5

MZ세대는 왜 겪어본 적도 없는 레트로를 그리워할까? : 아네모이아 현상

최신글

40년 넘게 ‘먹히는’ 맥도날드의 마케팅: 시대를 관통한 3가지 성공 전략

요즘 광고 카피, 왜 이리 잘해? 광줍픽 월간카피 TOP 6!

[뉴스콕] ‘깐부회동’ 효과 터졌다! 젠슨 황이 만든 깐부치킨 배달앱 검색 1위 신화 (11월 1주차)

“UX는 사람에 대한 고민입니다. 그렇기에 해야만 하는 일입니다”

소마코 마케팅 트렌드 리포트 (2025년 10월)

29년차 카피라이터가 선정 일본 카피 TOP 100 ! 필사하다 오열하는 일본어 명카피 필사노트

미국을 사로잡은 맛, ‘스와이시(Swicy)’의 정체는 달콤함+ㅇㅇ함?

갑차기스러운데 유행 밈 소개해도 돼? (2025년 10월 최신 밈 모음 zip.)

얼굴로 결제하는 시대, 페이스페이 vs 페이스사인

생성형 AI로 어디까지 가능할까? 최신 AI 마케팅 사례 모음 4

뉴스레터

엄선된 트렌드 인사이트를 이메일로 받아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