애플, 삼성, LG가 주목하는 새로운 시장 '슬르포노믹스'

0

각종 스트레스와 카페인 섭취, 취침 전 스마트폰 사용 등 다양한 이유로 많은 현대인들이 수면 장애를 앓고 있어요. 숙면을 취하지 못한 채, 그다음 날 아침부터 누적된 피로와 함께 하루를 시작하는 것이죠. 우리나라는 특히 이런 수면 장애를 앓고 있는 사람의 비율이 타 국가에 비해 현저히 높습니다.

2021년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조사에서 한국인의 하루 평균 수면 시간은 7시간 51분으로, 일본과 함께 최하위 수준으로 나타났어요. OECD 회원국의 평균은 8시간 27분이었는데 말이죠.

애플
출처: KB금융그룹 KB경영연구소 ‘돈 도는 잠, 슬리포노믹스’ 보고서

1️⃣ 숙면을 위한 소비, 슬리포노믹스(Sleeponomics)

이런 수면 장애에 대한 인식이 점점 높아짐에 따라, 숙면에 대한 고민과 연구 역시 활발해졌습니다. 관련 시장도 점점 더 커지고, 슬리포노믹스라는 신조어까지 생겼어요. 슬리포노믹스(Sleeponomics)란, 수면(Sleep)과 경제학(Economics)의 합성어로, 숙면에 도움이 되는 제품에 투자하는 소비 현상을 일컫습니다.

한국수면산업협회에 따르면, 국내 슬리포노믹스 시장규모는 2011년 4800억 원이었는데, 2021년 3조 원으로 10년간 6배 이상 증가했으며, 전 세계적으로는 2026년에 이르렀을 때 40조 원 규모로 성장할 전망이라고 해요.
 
이렇게 커지는 슬리포노믹스 시장은 당연히 다양한 업계에서 주목할 만한 이슈이기도 합니다. 업계를 막론하고 슬리포노믹스를 차세대 먹거리로 보고 그에 따라 다양한 제품을 개발, 출시하고 있어요.
 

AAAAAAAAAAAAAAAAAAAAAPtW0iR88Dro9b2trSeTwsdmu5kGavsBoQkq5C s4UsV img

출처 : stock

2️⃣ 일맥상통하는 트렌드, 헬시 플레저

슬리포노믹스 트렌드는 ‘헬시 플레저’라는 또 다른 트렌드에 힘입어 더 떠오르고 있습니다. 헬시 플레저란, 건강하면서도 즐겁고 행복한 생활을 추구하는 것으로, 건강하고 균형 있는 라이프스타일을 추구하는 MZ세대 사이에서 유행하고 있어요.

일과 더불어 충분한 휴식에 관심을 가지는 트렌드로, 슬리포노믹스와 일맥상통한다고 볼 수 있죠. 이렇게 신체적, 정신적인 건강함을 모두 추구함에 따라 수면 장애를 극복하고, 숙면을 도울 수 있는 다양한 제품들이 속속들이 나오고 있습니다. 이제 수면 장애는 비단 의료업계에서만 중요하게 여기는 분야가 아니에요.

AAAAAAAAAAAAAAAAAAAAAJ5KPu7QTTL02fhvfObr3PLJa8o680xJNQP8RXPSOQUW img

출처 : LX인터내셔널

3️⃣ 다양한 업계의 움직임

먼저, 애플과 삼성에서 웨어러블 기기를 활용해 슬리포노믹스 시장에 도전장을 내밀었습니다. 애플은 애플워치를 통해, 삼성은 스마트링을 통해 슬립테크 제품을 선보였어요.
 
애플은 애플워치를 찬 이용자가 자는 동안 워치는 수면무호흡증 감지를 실시간으로 하며 수면 중 이상을 발견하면 이용자에게 이를 알리고, 의사 상담을 권유하는 기능을 개발하고 있다고 해요. 또, 건강앱 AI가 평소 데이터를 수집해 수면 권장 사항을 제안하는 유료 코칭 서비스도 준비하고 있습니다.
 
워치와 링 등 웨어러블 기기에 기능을 추가하는 애플과 삼성전사와 달리, LG전자에서는 귀에 직접 신호를 투사해 숙면을 유도하는 웰니스 솔루션 ‘브리즈’를 출시했습니다. SK텔레콤의 AI 개인비서 ‘에이닷’ 앱을 통해서도 수면패턴을 수집하고 분석할 수 있어요.

AAAAAAAAAAAAAAAAAAAAAFHa 6UkHZ53d0 ILf tFicV7n9Rs28uoFWmru2CLAQJ img

출처 : medium

이런 빅테크기업뿐만 아니라 식음료업계 등에서도 슬리포노믹스 시장은 매력적입니다. 국내 최초 수면 음료인 ‘코자아’는 전 세계적으로 주목을 받았고, 아모레퍼시픽의 이너뷰티 브랜드인 ‘바이탈 뷰티’는 ‘굿슬립가바 365’를 출시했어요. 두 가지 모두 천연 수면제 성분을 넣은 수면 음료라는 공통점을 가지고 있습니다.

또, 호텔업계에서 최초로 침구류 사업에 진출했었던 조선호텔리조트의 침구 브랜드인 ‘더 조선호텔’은 매출 성장률이 두 자릿수를 기록했어요. 지난해 1월부터 11월까지도 전년 대비 36% 증가했죠. 이는 사람들이 수면의 질을 위해 가격대가 높은 침구류에도 기꺼이 투자한다는 것을 보여줍니다.

AAAAAAAAAAAAAAAAAAAAAMi2GnCRfsxczeit1E Oq0ScvYqcBS0CDi flE15f77f img

출처 : 로맨시브


웰니스에 대한 사람들의 관심이 이전에 비해 확연하게 높아졌어요. 이는 러닝과 같은 운동 트렌드를 불러일으켰고, 더불어 건강한 식습관과 라이프스타일에 대한 관심으로 이어졌습니다. 이제는 깨어있지 않는 나의 ‘수면 시간’에도 그 질을 위해 사람들이 투자하기 시작했어요. 빅테크부터 식음료업계까지, 업계의 구분 없이 뛰어들고 있는 슬리포노믹스 시장의 미래가 궁금해지네요.

오늘의 소마코 콕
✔️ 스마트폰 사용, 카페인 섭취 등의 이유로 많은 현대인들이 수면 장애에 시달리고 있어요.
✔️ 건강한 라이프스타일을 추구하는 헬시 플레저의 트렌드와 맞물려 슬리포노믹스 트렌드가 떠오르고 있습니다.
✔️ 빅테크 기업부터 식음료업계까지, 업계를 막론하고 슬리포노믹스 시장에 주목하고 있어요.


AAAAAAAAAAAAAAAAAAAAAGpFKmLjOIDGdSQSVknAnK064NfeaIYbq QWm9fNe1 img

함께 읽으면 좋은 콘텐츠

댓글 0개

댓글 작성

건전한 댓글 문화를 만들어주세요. 입력하신 정보는 댓글 관리를 위해서만 사용됩니다.

인기글HOT

1

젠틀몬스터 신사옥, ‘하우스 노웨어 서울’이 보여주는 리테일의 미래

2

나이키 슬로건, 40년 만에 바뀌었다? JUST DO IT에서 ‘WHY DO IT?’ 으로

3

[뉴스콕] 카톡이 인스타처럼? 프로필 공개 개편에 엇갈린 반응 (8월 4주차)

4

러쉬는 왜 락페에 왔을까? – 화장실에서 만난 러쉬 대표님

5

MZ세대는 왜 겪어본 적도 없는 레트로를 그리워할까? : 아네모이아 현상

최신글

40년 넘게 ‘먹히는’ 맥도날드의 마케팅: 시대를 관통한 3가지 성공 전략

요즘 광고 카피, 왜 이리 잘해? 광줍픽 월간카피 TOP 6!

[뉴스콕] ‘깐부회동’ 효과 터졌다! 젠슨 황이 만든 깐부치킨 배달앱 검색 1위 신화 (11월 1주차)

“UX는 사람에 대한 고민입니다. 그렇기에 해야만 하는 일입니다”

소마코 마케팅 트렌드 리포트 (2025년 10월)

29년차 카피라이터가 선정 일본 카피 TOP 100 ! 필사하다 오열하는 일본어 명카피 필사노트

미국을 사로잡은 맛, ‘스와이시(Swicy)’의 정체는 달콤함+ㅇㅇ함?

갑차기스러운데 유행 밈 소개해도 돼? (2025년 10월 최신 밈 모음 zip.)

얼굴로 결제하는 시대, 페이스페이 vs 페이스사인

생성형 AI로 어디까지 가능할까? 최신 AI 마케팅 사례 모음 4

뉴스레터

엄선된 트렌드 인사이트를 이메일로 받아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