드르렁..극장에서 낮잠 자는 시대? 메가박스의 신박한 마케팅

0

드르렁… 이제 영화관에서도 낮잠을?

 

 

2025년, 영화 한 편을 보려면 15,000원이 드는 시대가 도래했습니다. OTT 서비스의 성장과 높은 티켓값으로 인해 영화관을 찾는 발걸음이 점점 줄어들고 있죠.

 

이런 상황 속에서 단돈 1,000원으로 영화관에서 낮잠을 잘 수 있는 이벤트가 등장해 화제를 모았습니다. 바로 메가박스의 ‘메가쉼표’ 이벤트입니다. 영화관에서 잠을 잔다니, 상상만 했던 일이 현실이 됐죠! 공개 직후부터 많은 이들의 이목을 끌며 SNS에서도 큰 화제가 되었습니다.

 

영화관의 의미를 새롭게 바꾼 메가박스의 마케팅 전략, 자세히 소개드릴게요!

 

 

1️⃣ 메가쉼표, 영화관에서 즐기는 새로운 휴식

3월 11일, 메가박스에 한 장의 홍보물이 올라왔습니다. “극장에서 낮잠 자실 분 구합니다” 라는 멘트와 함께요. ‘메가쉼표’는 소등된 리클라이너 좌석에서 2시간 동안 휴식을 취하는 이벤트로, 단돈 1,000원에 참여할 수 있었습니다. 특별히 선별된 힐링 음악이 같이 흘러나와 더욱 포근하고 힐링되는 휴식시간을 보낼 수 있었죠.

 

이번 이벤트는 메가박스 강남점이 모든 좌석을 리클라이너로 리뉴얼한 것을 기념해 3월 17일부터 21일까지 5일간 진행되었습니다. 관객들에게 리클라이너 좌석의 편안함을 직접 경험하게 하려는 의도가 담겨 있었죠.

 

AAAAAAAAAAAAAAAAAAAAAN3emniqJygmj4VLIklJSVpGfnvOrK2VqfxDn04qYBfC imgAAAAAAAAAAAAAAAAAAAAAB606oc7MAsANRAvi ami dn5Uiess7MyLafq5EA04q0 img
출처 : 메가박스 홈페이지

 

 

 

2️⃣ 메가 쉼표의 반응은 어땠을까? 

메가쉼표 이벤트가 SNS에 공개되자마자 뜨거운 반응이 쏟아졌습니다. 특히 점심시간마다 잠시라도 눕고 싶었던 직장인과 학생들에게 큰 관심을 받았죠.영화관에서 자보는 거 상상만 했는데, 이게 되네?”, “옆사람 코골이 때문에 못 잘 듯…”  이처럼 기대 반, 걱정 반의 반응이 나왔지만, 오픈 당일 좌석이 빠르게 매진되면서 이벤트의 성공을 입증했습니다. 영화관과 낮잠이라는 매력적인 포인트에 소비자들의 흥미를 제대로 끌었던 것이었습니다.

 

뿐만 아니라, 참여한 소비자들의 반응도 긍정적이었습니다. 한 직장인은 “커피로 잠을 깨우는 것보다 잠깐 눈 붙인 효과가 더 크다. 점심시간이면 늘 지나치던 곳인데, 이번 기회에 영화도 보러 와볼까 싶다.” 라며 만족감을 드러내기도 했습니다.

 

AAAAAAAAAAAAAAAAAAAAAFjhXV5RY1FB3sHzY5f GIjsuzD8jthATvLbp6D E3Mz imgAAAAAAAAAAAAAAAAAAAAAK9b JORiu0 yEQPI spTyVhNRJWngpv4YuPcTd9aj X img
인스타그램 @tappler_mag ./ 당근마켓

 

 

 

3️⃣ 신박한 마케팅, 어떻게 기획됐을까?

메가쉼표 이벤트는 강남 지점이 직장인들이 밀접한 지역이다 보니, 직장인 타겟으로 먼저 고민해보셨다고 해요. 직장인들의 하루 중 가장 소중한 점심시간을 영화관 리클라이너석에서 보내면 영화관을 편안한 공간으로 느끼고, 나아가 “메가박스에서 영화를 보면 편하다”라는 느낌을 주고 싶었다고 합니다. 

 

메가쉼표 이벤트를 직접 체험해 보기 위해 팀원들과 메가박스에서 누워 보는 시간을 가졌는데, 테스트 중 한 팀원이 정말로 잠들어버렸죠. 그 순간 담당자분은 “이거다”라고 외치며 가능성 있는 마케팅이라고 확신이 들었다고 합니다. 그 덕에 정말 메가 쉼표의 마케팅은 큰 인기를 끌었고, 영화관 산업의 방향성에 발전 가능성을 주었죠. 

담당자분은 영화관은 이제 단순히 영화를 감상하는 공간을 넘어, 다양한 경험을 제공하는 복합 문화 공간으로 진화하고 있다고 합니다. 관객들이 영화관을 더 자주 찾고, 자연스럽게 머물고 싶어지는 공간이 될 수 있도록 더욱 다양한 시도를 이어갈 것이라고 해요!

 

AAAAAAAAAAAAAAAAAAAAAHCn7A9dWib2dyDtFmhKcUq1Dm4JbI2typPZrQqVCSXE imgAAAAAAAAAAAAAAAAAAAAAF2X6yp1Q5CUKxyrsO9zT3zIo x3qwn5pNRZao3f9nAD img
출처 인스타그램 @luxmag.kr / 한경닷컴

 

 

 


 

‘2024년 한국인의 수면 실태’ 보고서에 따르면, 한국인의 평균 수면 시간은 6시간 58분으로 OECD 평균(8시간 27분)보다 18% 부족합니다. 이에 따라 숙면을 위한 소비문화인 ‘슬리포노믹스(Sleeponomics)’ 시장이 급성장하고 있죠. 메가박스가 극장 리뉴얼 홍보와 ‘낮잠’ 이벤트를 결합한 것도 이 트렌드를 반영한 마케팅 전략으로 보입니다.

 

 

애플, 삼성, LG가 주목하는 새로운 시장 '슬르포노믹스'

각종 스트레스와 카페인 섭취, 취침 전 스마트폰 사용 등 다양한 이유로 많은 현대인들이 수면 장애를 앓고 있어요. 숙면을 취하지 못한 채, 그다음 날 아침부터 누적된 피로와 함께 하루를 시작

blog.socialmkt.co.kr

 

 

이번 캠페인은 영화관이 단순히 영화를 보는 곳이 아니라, 새로운 문화·휴식 공간으로 변화하고 있음을 보여주었습니다. 앞으로 전국 지점에서도 ‘메가쉼표’ 같은 색다른 경험이 확대될지 기대해 봅니다!

 

 

오늘의 소마코 콕

✔️메가박스가 단돈 1,000원으로 영화관에서 낮잠을 잘 수 있는 ‘메가쉼표’ 이벤트를 열어 큰 화제를 모았습니다.
✔️리클라이너 좌석에서 힐링 음악과 함께 휴식을 제공하는 이 이벤트는 뜨거운 반응을 얻으며 빠르게 매진되었습니다.
✔️메가박스는 이를 통해 영화관을 단순한 상영 공간이 아닌 문화·휴식 공간으로 확장하려는 전략을 보여주었습니다.

 

 

 

 

 

 

AAAAAAAAAAAAAAAAAAAAAOxZKcmfbf7nUEwvBRfqqRK8XxL0r7DTSn5b EtQpm e tfile

EDITOR 오디 

“소소하게 글을 쓰는 대학생 그리고 에디터입니다”

 

 

 

 

 

 

By. 마케팅 컨설턴시골드넥스

AAAAAAAAAAAAAAAAAAAAAN783 7 qrU9FyofDNsr5Bo0GsXIHiFcWwp7W4TL2pBk tfile


AAAAAAAAAAAAAAAAAAAAAB0dnQQFSScFUtJaiRrDJ3Vwi5Vw qbMVq5gUmTODjm4 tfile

함께 읽으면 좋은 콘텐츠

댓글 0개

댓글 작성

건전한 댓글 문화를 만들어주세요. 입력하신 정보는 댓글 관리를 위해서만 사용됩니다.

인기글HOT

1

레드오션 속 차별화 : ‘모태솔로지만 연애는 하고싶어’처럼만 하세요

2

네이버 쇼핑커넥트 오픈! 제휴 마케팅의 ‘게임 체인저’ 될까?

3

다가올 GEO 시대, 마케터는 어떻게 준비해야 할까? 7월 리마 딥다이브 클럽

4

[뉴스콕] 드디어 대중교통도 아이폰으로! 애플페이 교통카드 시작

5

혼문도 지킬 것 같은 감다살 삼성 갤럭시 광고, 삼성은 당장 서씨 케이스를 달라!

최신글

“AI 검색? AEO=SEO다” 구글 AI 검색 상위 노출 기준은 변하지 않았다

소마코 마케팅 트렌드 리포트 (2025년 7월)

보법이 다른 스마트 안경!😎 주요 브랜드별 전략 모음.zip

불황에 대응하는 미국의 3가지 브랜드 전략 보고서

생성형 AI 광고 사례2 : 야나두, Z세대의 ‘웃픈’ 공감대를 저격하다

돈키호테가 한국에 상륙한 3가지 이유

불닭볶음면의 맛잘알 마케팅 레퍼런스 모음

혼문도 지킬 것 같은 감다살 삼성 갤럭시 광고, 삼성은 당장 서씨 케이스를 달라!

[뉴스콕] 드디어 대중교통도 아이폰으로! 애플페이 교통카드 시작

‘여름의 블랙프라이데이’ 아마존이 프라임 데이를 여는 까닭은?

뉴스레터

엄선된 트렌드 인사이트를 이메일로 받아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