용산아이파크몰 방문객, 데이터로 옥외광고 타깃하는 법

0

여름 핫플(ex.용산아이파크몰) 방문하는 2030의 핵심 동선 분석

용산아이파크몰

애드타입의 분석에 따르면, 더운 날 2030 여성의 ‘핫플’은 영등포역, 롯데월드와 롯데월드몰, 용산역, 고속터미널로 나타났습니다. 여름은 소비자의 이동 동선이 뚜렷해 미디어플래닝 전략이 명확하다는 장점이 있는데요. 이번 콘텐츠에서는 존재인구 데이터와 이동인구 데이터, 대중교통 승하차 데이터를 활용해 여름 핫플로 향하는 2030 여성의 이동 동선을 공간데이터 기반으로 옥외광고를 타깃하는 방법을 소개합니다.​​

더운 여름 주말, ‘여름 핫플’로 이동하는 2030 수는 얼마나 많을까?

2030은 더운 여름 어디를 방문할까?
2030은 더운 여름 어디를 방문할까?(자료=애드타입)

🔎 여름 핫플을 방문하는 2030세대 수

  • 용산아이파크몰 : 6만42명 (일평균)
  • 롯데월드몰 : 5만710명 (일평균)
  • 영등포 타임스퀘어 : 4만6096명 (일평균)
  • 고속터미널/신세계백화점 강남점 : 3만8133명 (일평균)​

지난해 7~8월 주말의 이동데이터를 분석해 용산역, 롯데월드몰, 영등포역, 고속터미널이 위치한 행정동에 2030 인구가 하루에 얼마나 방문했는지 살펴본 결과, 하루에만 적게는 3만명에서 많게는 6만명이 넘는 것으로 집계됐습니다.

1. 용산역/용산아이파크몰(한강로동)을 방문하는 사람들은 어디에서 올까?

여름 핫플 네 개의 지역 중 가장 많은 2030이 방문한 지역은 용산역 인근(한강로동)입니다. 용산역 인근은 1호선 용산역, 4호선 신용산역을 비롯해 용산아이파크몰과 CGV 등 여름에도 쾌적한 공간이 밀집해 있습니다. 또한 인근에 힙한 분위기의 식당과 카페로 큰 인기를 얻고 있는 거리인 ‘용리단길’이 있습니다.

오늘 소개해드릴 다른 지역과 달리, 용산역은 KTX 정차역이기 때문에 수도권 외의 타지역에서 오는 2030 인구도 다수 집계되었습니다. 즉 이번에 소개드린 여름 핫플 가운데 전국 단위의 방문객이 가장 많이 모이는 장소라고 할 수 있습니다.

🔎 용산역/용산아이파크몰 방문 동선의 주요 출발지

  • 원효로1동 : 1341명 (일평균)
  • 이촌1동 : 1240명 (일평균)
  • 남영동 : 979명 (일평균)
  • 청파동 : 955명 (일평균)
  • 서빙고동 : 815명 (일평균)
용산역 방문자의 출발지 데이터(자료=애드타입)
용산역 방문자의 출발지 데이터(자료=애드타입)

용산역과 용산아이파크몰이 위치한 한강로동을 방문하는 동선을 살펴보았을 때, 용산구 내의 지역에서 출발하는 2030 인구가 다수였습니다. 특히 원효로1동과 이촌1동, 남영동은 용산역이 위치한 한강로동과 바로 접해있는 옆 동네에 해당했습니다.

​그러나 용산구가 아닌 지역에서도 많은 2030이 용산역(한강로동)을 찾았는데요. 이들 지역의 주요한 특징은 바로 용산역까지 한번에 올 수 있는 대중교통 노선이 존재했다는 점입니다. 버스나 지하철을 타고 30분 내에 용산역에 도달할 수 있는 지역에서 다수 방문하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실제 폭염이었던 지난해 어느 토요일 기준(8월 31일), 노량진역에서 탑승해 용산역에 하차한 승객 수는 총 1218명에 달했습니다.

따라서 용산역과 용산아이파크몰을 방문하는 2030을 타깃하기 위해서는, 이들이 주로 이용하는 지하철 1호선 용산역과 지하철 4호선 신용산역 내의 매체, 혹은 용산역 인근을 지나는 버스 노선 매체를 이용하길 권합니다. 또 용산역이라는 목적지를 위해 하루에 1218명이 지나간 노량진역의 매체도 대안으로서 고려해볼 수 있습니다.

image 6 5.jpg
1호선 용산역 스크린도어 매체(자료=애드타입)

2. 롯데월드몰(잠실6동)을 방문하는 사람들은 어디에서 올까?

잠실의 랜드마크인 롯데월드타워가 위치한 잠실6동은 롯데월드몰, 석촌호수, 롯데시네마 등이 있어 연인 및 가족과 시간을 보내기 좋은 곳입니다. 잠실역에 내려, 롯데월드몰에서 식사와 쇼핑을 하고, 롯데시네마에서 영화를 보고, 해가 진 후에 석촌호수를 걸으며 산책하는 등 한 곳에서 다양한 여가생활을 즐길 수 있는 곳입니다.

🔎 롯데월드몰 방문 동선의 주요 출발지

  • 잠실3동 : 3616명 (일평균)
  • 송파1동 : 2795명 (일평균)
  • 방이2동 : 1901명 (일평균)
  • 석촌동 : 1170명 (일평균)
  • 잠실본동 : 1091명 (일평균)​
image 6 6.jpg
롯데월드몰을 방문한 2030의 출발지(자료=애드타입)

롯데월드몰이 위치한 잠실6동을 방문하는 동선을 살펴보았을 때, 송파구 내의 지역에서부터 오는 2030이 다수였습니다. 특히 잠실3동과 송파1동, 방이2동은 롯데월드몰이 위치한 잠실6동과 바로 접해있는 옆동네에 해당했습니다.

​주로 같은 송파구에서 출발한 사례가 많았으나, 송파구가 아닌 지역에서도 많은 인구가 잠실6동을 찾았습니다. 이들은 주로 지하철 2호선과 8호선을 이용하여 잠실에 도착하는 패턴을 보였습니다. 이들 지역은 주로 지하철로 30분 내에 도달 가능하다는 공통점이 있었습니다. 특히 2024년의 폭염이었던 어느 토요일 기준(8월 31일), 역삼역에서 탑승해 잠실역에서 하차한 승객 수는 총 1093명이었습니다.

롯데월드몰을 방문하는 2030을 타깃하기 위해서는, 이들이 주로 이용하는 지하철 2호선 잠실역 내의 매체, 혹은 잠실역 인근을 지나는 버스 노선 매체를 이용하는 것이 좋습니다. 수도권 내 타 지역과 잠실을 이어주는 버스노선이 있는 잠실광역환승센터가 위치해 있다는 점도 주목할 만 합니다. 또한 잠실역이라는 목적지를 위해 하루에 2491명이 지나간 강변역의 매체도 대안으로서 고려해볼 수 있습니다.

image 6 7.jpg

이밖에 영등포와 고속터미널에 대한 자세한 분석이 궁금하시다면 아래 원문 링크를 참고해주세요.

👉 원문 링크: [오디언스 데이터 리포트] ‘여름 핫플’ 방문하는 2030들의 핵심 이동 동선은?

Writer. 장준영
by. 디지털 인사이트

 
*해당 글은 소마코 제휴사 디지털 인사이트의 저작물로 무단전재 및 재배포를 금지합니다.

함께 읽으면 좋은 콘텐츠

댓글 0개

댓글 작성

건전한 댓글 문화를 만들어주세요. 입력하신 정보는 댓글 관리를 위해서만 사용됩니다.

인기글HOT

1

레드오션 속 차별화 : ‘모태솔로지만 연애는 하고싶어’처럼만 하세요

2

이 광고 봤어? 대기업도 쓰기 시작한 생성형 AI 광고

3

다가올 GEO 시대, 마케터는 어떻게 준비해야 할까? 7월 리마 딥다이브 클럽

4

네이버 쇼핑커넥트 오픈! 제휴 마케팅의 ‘게임 체인저’ 될까?

5

[뉴스콕] 릴스 떠나고 클립으로? 숏폼 창작자의 새 둥지, 숏폼 전쟁 판도변화?  (8월 1주차)

최신글

컵커피 원조, 매일유업 바리스타룰스의 특별한 진심

용산아이파크몰 방문객, 데이터로 옥외광고 타깃하는 법

와플대학의 캠퍼스 세계관, 어디까지 확장될까? ‘붕어대학’ 개교로 본 마케팅 전략

팬덤마케팅 4 : 이제는 브랜드도 ‘팬덤’에 입장해야 할 때 !

동원참치 새 모델 BTS 진, 참치 사랑 서사의 완성

룰루레몬, 나이키를 이긴 신생 브랜드? 뷰오리(Vuori) 성공 마케팅 전략 3가지

시술 정보 앱 최강자는? 바비톡 VS 강남언니 성형 정보 어플 광고

[뉴스콕] 릴스 떠나고 클립으로? 숏폼 창작자의 새 둥지, 숏폼 전쟁 판도변화?  (8월 1주차)

“AI 검색? AEO=SEO다” 구글 AI 검색 상위 노출 기준은 변하지 않았다

소마코 마케팅 트렌드 리포트 (2025년 7월)

뉴스레터

엄선된 트렌드 인사이트를 이메일로 받아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