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X 관점에서 본 네이버 플러스 스토어 앱… 독립 앱 출시한 까닭은?

0

AAAAAAAAAAAAAAAAAAAAAKo4FUsBHi2rB1txj2gSkFXG7lNyG4ly1DhMO97EBwZV img

 

지난달 네이버가 공식적으로 독립된 쇼핑 앱 ‘네이버 플러스 스토어’를 출시했습니다. 그런데 네이버 앱에서도 여전히 쇼핑 탭(네이버 플러스 스토어 탭)을 통해 쇼핑을 할 수 있는 데다, 독립 앱으로 출시됐음에도 기존 쇼핑 탭과 상당히 유사한 모습을 보여줍니다.

 

때문에 사용자 입장에선 또 하나의 앱을 켜야 하는 불필요한 진입 장벽이 추가된 것처럼 여겨지기도 하는데요. 하지만 UI·UX 디자인 업계에선 이번 네이버 플러스 스토어 출시가 단순 독립 앱 출시에서 그치지 않고, 네이버가 목표로 하는 쇼핑 검색 사용자 경험(UX)의 변화 증거라는 분석을 내보이고 있습니다.

 

과연 네이버 플러스 스토어 앱에는 어떤 전략이 담겼을까요? 이번엔 네이버 쇼핑 탭이 새로운 쇼핑앱 ‘네이버 플러스 스토어’으로 독립하면서 바뀐 디자인 변화와 그 이면에 담긴 의도를 UX 디자인 관점에서 짚어보겠습니다.


 

1️⃣ 검색보단 ‘추천’과 ‘발견’에 집중한 네이버

AAAAAAAAAAAAAAAAAAAAADmS8ylqcAkdKjALHXrm6pywMiPXDWqsP2x54xueNRzh img
네이버 앱의 쇼핑 탭(좌)과 네이버 플러스 스토어 앱 메인 화면(자료=네이버앱·네이버 플러스 스토어앱 갈무리)

 

앞서 말했듯, 앱을 실행하면 보이는 메인 화면의 모습은 기존 네이버 앱 사용자들에게 익숙한 쇼핑 탭과 아주 유사한 모습입니다. 하지만 첫인상은 익숙했을지라도 잘 살펴보면 완전히 똑같은 모습은 아닌데요. 대표적으로 검색 창이 사라지고 아이콘 버튼으로 변경됐으며, 타 사용자들의 검색 활동을 보여주던 ‘이슈 키워드’가 사라졌습니다. 그 대신 단골 쿠폰이 자리를 차지했으며, 자연스레 관심 있게 봤던 상품 큐레이션의 노출면이 증가했죠.

 

앱 하단 탭 바 부분에도 차이가 있습니다. 실제 네이버 플러스 스토어 앱에선 ‘발견’이라는 새로운 아이콘 버튼이 카테고리 버튼 옆에 새롭게 생긴 것을 찾아볼 수 있는데요. 대신 네이버 메인 화면으로 직결되는 ‘네이버’ 버튼이 메인 화면에선 자취를 감췄습니다.

 

특히 하단 탭 바에 새롭게 들어선 ‘발견’ 탭은 클릭 시 20~30초 분량의 상품을 소개하는 숏폼 콘텐츠와 함께 상품 및 프로모션 관련 정보를 제공하는데요. 이에 여러 UX 디자이너들은 메인 화면으로도 네이버 플러스 스토어 앱이 기존 네이버 앱의 쇼핑 탭과는 상당히 다른 방향성을 취하고 있다고 설명하고 있습니다.

 

아이콘으로 존재감이 줄어든 검색창과 한정된 공간인 하단 바에 추가돼 강조되고 있는 숏폼과 접목해 짧은 시간에 여러 제품 서비스들의 정보와 특징을 제공하는 발견 기능은 기존 네이버 앱에서 쇼핑 사용자들이 명확한 검색 의도를 가지고 앱에 접속하는 것과 달리 가벼운 마음으로 둘러보며 우연히 매력적인 상품을 마주치도록 유도한다는 분석이었는데요.

 

실제 네이버 플러스 스토어 제작팀 ‘네플즈’는 공식 블로그를 통해 “AI 시대 사용자들은 스스로 몰랐던 자신의 니즈를 발견하고, 탐색하길 원하는 단계에 도달했다”며 “사용 맥락을 바탕으로 좋아할 만한 콘텐츠를 추천받고, 이를 기반으로 나의 취향과 지식, 라이프스타일을 확장해 가는 경험에 익숙해진 것이다. 우리의 목표는 5000만 국민의 모두 다른 쇼핑 경험을 구현하는 것이다”라고 발견 탭 도입 취지를 설명했습니다.

 

AAAAAAAAAAAAAAAAAAAAAKGq3JAPL0jF5b99Mu6Xl1DKO75Wezz83YgKzQUkjvpZ img
네이버 플러스 스토어 앱의 새로운 ‘발견’ 기능은 숏폼과 상품 정보를 동시에 노출한다(자료=네이버)

2️⃣ 검색에서도 AI 쇼핑가이드로 ‘초개인화’ 노리는 네이버

AAAAAAAAAAAAAAAAAAAAAFYgr 5xFEsnBInoqi4xTvIiuQxwKhqpPUrENSd4xPPs img
네이버 플러스 스토어 앱은 AI 쇼핑 가이드를 통해 사용자의 쇼핑 경험을 지원하고 있다(자료=네이버)

 

물론 ‘발견’이 네이버 플러스 스토어 앱의 전부는 아닙니다. 앞서 직접 네이버가 AI 시대 콘텐츠 소비 성향 변화를 언급한 만큼, 네이버 플러스 스토어 앱에선 기존 네이버 앱에선 없던 AI 기반 신기능을 찾아볼 수 있는데요.

 

대표적인 것이 바로 ‘AI 쇼핑 가이드’입니다. AI 쇼핑 가이드는 특정 상품을 검색하면 AI가 사용자의 구매 내역, 찜 목록, 성향 등을 자동으로 분석해 사용자에게 상품을 설명해 주는 것은 물론, 가장 필요한 상품을 추천해 주는 기능입니다.

 

AAAAAAAAAAAAAAAAAAAAAPpxoFpcLKb2TmNygxNdjezNRWuHqQcmNjAOj8fuPjA9 img
같은 마우스를 검색해도 네이버 플러스 스토어앱은 사용자의 정보를 예측 분석해 추가적인 정보를 제공한다(자료=네이버앱·네이버 플러스 스토어앱 갈무리)

예를 들어 앱에서 ‘마우스’를 검색하면, AI가 사용자의 성향과 관심사에 따라 휴대성이 좋은 마우스, 게이밍 용도로 사용하기 좋은 마우스 등 다양한 마우스들을 추천 이유까지 상세하게 설명하며, 구매 시 참고할 팁까지 제공합니다. 다소 존재감이 줄어든 검색에서도 사용자가 곧 필요로 할 쇼핑 정보까지 예측 제공해 ‘발견’ 경험을 강조하는 것이죠. UX 디자이너들은 이 기능 또한 네이버 플러스 스토어 앱의 UX 방향성 변화를 설명하는 또 다른 기능이라고 설명하고 있는데요.

 

실제 네이버는 AI 쇼핑 가이드를 두고 “초개인화를 위해선 예측적 설계가 필요하다. 단순히 관심을 보인 상품만 보여주는 것이 아니라, 사용자가 필요로 할 정보를 먼저 헤아려 제안하는 ‘예측적 설계’다”라고 설명하며, “묻기 전에 알아서 골라 드리는 것”이 네이버 플러스 스토어 앱이 추구하는 초개인화라고 소개했습니다.

 

 

3️⃣ 온전히 쇼핑에만 집중할 수 있는 환경

AAAAAAAAAAAAAAAAAAAAAIJxM2HR4s1Cq y2fBiWqF2SbO4RZITf7Oe9MP QCjd4 img
온전히 쇼핑에 집중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하기 위해 독립 앱을 개발했다고 네이버는 설명한다(자료=네이버)

 

하지만 앱에서만 볼 수 있는 신기능들이 있다고 하더라도 여전히 의문은 남습니다. 근본적인 변화가 아닌 기존에서 덜어내고 더하는 방식의 변화이기 때문에 기존 네이버 앱의 쇼핑 탭에서 충분히 이뤄낼 수 있다는 생각은 떨쳐지지 않는데요.

 

이런 의문에 네이버는 ‘온전히 쇼핑에 집중할 수 있는 환경 조성’을 이유로 들었습니다. 쉽게 말해 정밀한 개인화로 마음에 드는 상품과 브랜드를 추천받고 발견하는 여정에 사용자가 몰입하려면 온전히 쇼핑에 집중할 수 있는 환경이 필수적이란 이야기죠.

 

실제 기존 네이버 앱을 사용할 경우 쇼핑 탭에 진입하기 위해선 포털 검색, 카페, 블로그 등의 다른 서비스가 표시되는 홈 화면을 거쳐서 진입해야 하는데요. 하지만 이번 네이버 플러스 스토어 앱의 경우, 앱 첫 화면부터 쇼핑 콘텐츠만 노출돼 네이버의 별도 서비스가 끼어들 과정이 사라졌습니다.

 

또한 메인 화면에서 새롭게 추가된 알림 버튼의 경우, 기존 네이버 앱과 다르게 쇼핑 관련 푸시 알림만이 제공되는데요. 기존 네이버 앱이 블로그, 카페, 페이, 클립 등 서비스 알림과 함께 제공하던 것과 다르게, 새로운 플러스 스토어 알림은 쇼핑 관련 알림만 표시하는 것은 물론, ‘쇼핑라이브’ ‘스토어소식’ ‘서비스소식’ ‘혜택’ ‘주문배송’ ‘상품리뷰’ 등으로 세분화하는 필터링 기능도 제공합니다.

 

AAAAAAAAAAAAAAAAAAAAANTh w3Vvm77QlbS8 xaiNdSKuUYKqZPS0t25at2pFV8 img
네이버 플러스 스토어 앱의 알림 화면은 기존 네이버 앱고 다르게 오직 쇼핑 관련 알림만 제공한다(자료=네이버앱·네이버 플러스 스토어앱 갈무리)

 

4️⃣이 앱은 분명히 다르다고 설명할 수 있어야

 결국 이번 네이버 플러스 스토어 앱 출시는 단순한 앱 서비스 분리를 넘어, 추천 중심의 개인화 UX 로의 전환이라 볼 수 있는데요. 물론 해결되지 않은 과제나 걱정도 있습니다.

 

한 커머스 기업 소속 UX 디자이너는 “새로운 기능의 의도는 이해가 가지만 현재로선 앱을 따로 설치하고 실행할 만한, 사용자에게 단번에 와닿을 어필이 부족해 어느 정도의 전환 효율을 보여줄지 의문이다”며 “당장 메인 화면의 발견 기능도 충분한 강조 없이 방치돼 있다고 생각한다. 독립 앱 출시에 맞춰 새로운 방향성으로 앱을 새롭게 구성할 기회를 놓치고 있는 것 같아 조금 아쉽다”라고 전했는데요.

 

실제 아이지에이웍스 모바일인덱스 발표 자료에 따르면, 지난달 안드로이드 및 아이폰 사용자 기준 네이버 플러스 스토어는 활성사용자 수 268만명을 기록하며 쿠팡을 비롯한 기존 커머스 강자들에겐 미치지 못한 상황입니다.

 

AAAAAAAAAAAAAAAAAAAAAOfKlFTcv6UUGbFkrLA 5KH8DGKfnJ1mIQ hWvvCVaL3 img
네이버 페이 앱은 현장 결제 기능에 네이버 지도를 활용한 ‘내 주변 사용처 보기’ 기능을 더해 사용자가 쉽게 사용처 매장의 후기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자료=네이버 페이 앱 갈무리)

이에 대해 네이버는 “블로그 리뷰 콘텐츠를 플러스 스토어 앱에서 활용해 구매 결정에 도움을 주고 추천 정확도를 높이는 등 앞으로 기술을 계속 소도화해 쇼핑 경험을 한층 더 매끄럽게 끌어올릴 것”이라고 밝혔습니다. 요컨대 네이버 페이 앱이 네이버 지도의 리뷰 데이터를 활용한 ‘내 주변 사용처 보기’ 기능으로 자체 현장 결제 기능을 고도화한 것과 유사한 접근방식을 취하겠다는 이야기인데요

 

과연 네이버는 기존 단골은 물론, 잠재적 단골인 신규 사용자까지 포섭할 수 있는 차별성과 경쟁력을 갖출 수 있을까요? 사용자들이 ‘이 앱은 분명히 다르다’고 느낄 수 있는 이유를 더욱 분명하게 설계해 가는 일이 앞으로 네이버의 과제가 될 것입니다.

 

 

Writer. 김동욱
by. 디지털 인사이트

 

 

 
*해당 글은 소마코 제휴사 디지털 인사이트의 저작물로 무단전재 및 재배포를 금지합니다.


AAAAAAAAAAAAAAAAAAAAAMejNcS3rlgp7vWh60qkpEYBFFPeRpuUdcuSapf0 ZEP tfile 1

 

 

 

 

 

 

 

함께 읽으면 좋은 콘텐츠

댓글 0개

댓글 작성

건전한 댓글 문화를 만들어주세요. 입력하신 정보는 댓글 관리를 위해서만 사용됩니다.

인기글HOT

1

레드오션 속 차별화 : ‘모태솔로지만 연애는 하고싶어’처럼만 하세요

2

네이버 쇼핑커넥트 오픈! 제휴 마케팅의 ‘게임 체인저’ 될까?

3

다가올 GEO 시대, 마케터는 어떻게 준비해야 할까? 7월 리마 딥다이브 클럽

4

[뉴스콕] 드디어 대중교통도 아이폰으로! 애플페이 교통카드 시작

5

돈키호테가 한국에 상륙한 3가지 이유

최신글

“AI 검색? AEO=SEO다” 구글 AI 검색 상위 노출 기준은 변하지 않았다

소마코 마케팅 트렌드 리포트 (2025년 7월)

보법이 다른 스마트 안경!😎 주요 브랜드별 전략 모음.zip

불황에 대응하는 미국의 3가지 브랜드 전략 보고서

생성형 AI 광고 사례2 : 야나두, Z세대의 ‘웃픈’ 공감대를 저격하다

돈키호테가 한국에 상륙한 3가지 이유

불닭볶음면의 맛잘알 마케팅 레퍼런스 모음

혼문도 지킬 것 같은 감다살 삼성 갤럭시 광고, 삼성은 당장 서씨 케이스를 달라!

[뉴스콕] 드디어 대중교통도 아이폰으로! 애플페이 교통카드 시작

‘여름의 블랙프라이데이’ 아마존이 프라임 데이를 여는 까닭은?

뉴스레터

엄선된 트렌드 인사이트를 이메일로 받아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