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슈 온 더 소마코] 12월 4주차 뉴스클리핑

0

목차

%E1%84%89%E1%85%A9%E1%84%86%E1%85%A1%E1%84%8F%E1%85%A9 12%E1%84%8B%E1%85%AF%E1%86%AF4%E1%84%8C%E1%85%AE%E1%84%8E%E1%85%A1 %E1%84%8A%E1%85%A5%E1%86%B7%E1%84%82%E1%85%A6%E1%84%8B%E1%85%B5%E1%86%AF


 

1. 네이버 쇼핑, 명품 화장품 전용 메뉴 개설… 카카오에 '맞불'

 

네이버가 쇼핑 서비스에 명품 화장품 전용 메뉴를 개설했다. 코로나 19 사태로  소위 '명품'에도 온라인 구매 추세가 강화되면서 적극 대응에 나선 것이다. 이로 인해 일찍부터 명품 구성을 강화한 '영원한 맞수' 카카오와 명품 플랫폼 지위를 두고 또다시 치열한 경쟁을 벌일 것으로 전망된다. 네이버는 럭셔리 브랜드에 대한 고객 수요가 높은 것은 물론이고, 해당 브랜드들도 최근 코로나19 사태로 인한 언택트 흐름 속에서 온라인 경쟁력을 강화하고자 함에 따라 양측을 연결해 '럭셔리 뷰티' 서비스를 개시했다고 설명했다.

 

출처: newsis.com/view/?id=NISX20201215_0001270627&cid=11801


2. 페이스북 애플에 선전포고… 광고 문제 정면충돌

 

아이폰 제조업체 애플이 새해부터 아이폰·아이패드에 강화된 사생활보호 조치를 시행한다고 예고한 가운데, 가장 큰 타격이 예상되는 페이스북이 공개적으로 애플을 비난했다. 페이스북은 16일(현지시간) 뉴욕타임즈, 월스트리트 저널 등 미국 주요 일간지에 “기업들이 개인화된 광고를 운영하고 고객에게 효과적으로 다가갈 수 있는 능력을 제한한다”는 내용으로 애플을 공개적으로 겨냥한 신문 광고를 냈다. 페이스북은 광고에서 “우리는 모든 곳에 있는 소기업을 위해 애플에 맞설 것”이라며 “우리 데이터는 개인화된 광고가 없을 경우 평균적인 소기업 광고주들이 광고비 1달러당 60% 이상의 매출 하락을 보게 될 것”이라고 주장했다.

 

출처: www.hankyung.com/it/article/2020121779287


3. 카드 업계, 사라진 연말 대목에 울상… 온라인 마케팅도 눈치

 

카드 업계가 코로나19코로나 19 탓에 암울한 연말을 보내고 있다. 예년 같으면 크리스마스와 연말연시에 초점을 맞춘 다양한 마케팅 행사로 활기가 넘치겠지만, 올해는 코로나 19 재확산에 정부가 사회적 거리두기 3단계 격상까지 검토하고 있어서다. 14일 업계에 따르면 카드사들은 올해 연말 마케팅을 대폭 축소했고, 그나마 온라인쪽으로 제한해서 진행한다는 계획이다. 카드 업계는 외부 활동을 자제하고 있는 고객들을 위해 온라인 마케팅이라도 조촐하게 실시한다는 방침이다.

 

출처: biz.newdaily.co.kr/site/data/html/2020/12/14/2020121400016.html


4. CJ ONE, AI 광고 플랫폼 '타겟원' 출시

 

CJ 올리브 네트웍스는 자사가 운영하는 통합 멤버십 CJ ONE이 인공지능(AI) 광고 플랫폼 ‘타겟 원(Target ONE)’을 선보인다고 17일 밝혔다. 타겟원은 CJ ONE이 보유하고 있는 2700만 명 고객의 온·오프라인 제휴 브랜드의 이용 데이터를 학습시킨 머신러닝을 통해 광고의 목적에 맞는 광고 대상을 타겟팅한다. 해당 타겟이 카카오톡, 삼성 페이, 티맵 등 국내외 약 200만 개 앱에 접근 시 광고가 자동으로 노출돼 고효율 광고를 집행한다는 것이 회사 측 설명이다. 타겟원 플랫폼을 통해 광고 매출 실적을 실시간으로 확인하고, 구매자 수, 구매율, 구매 당 광고비용 등 다양한 결과 데이터를 분석할 수 있어 광고 효과 측정도 편리할 것으로 전망된다.

 

출처: www.edaily.co.kr/news/read?newsId=02118886625999504&mediaCodeNo=257


5. 네이버, '구매확정' 독려하는 캠페인 진행

 

네이버 파이낸셜은 네이버 쇼핑 구매자들의 빠른 구매확정을 독려하는 ‘작은 가게에 도움되는 구매확정 캠페인’을 내년 다음 달 31일까지 진행한다고 18일 밝혔다. 이번 캠페인은 스마트스토어 중소사업자(SME)에게 판매대금을 빠르게 지급해 연말연시 자금융통을 돕고자 기획됐다. 네이버 쇼핑은 구매자가 구매확정을 하면 영업일 기준 1일 후에 판매대금을 스마트 스토어 사업자에게 지급한다. 구매확정이 빠르게 진행될수록 대금 정산 기일도 빨라지는 것이다.

 

출처: www.edaily.co.kr/news/read?newsId=02443606625999832&mediaCodeNo=257

함께 읽으면 좋은 콘텐츠

댓글 0개

댓글 작성

건전한 댓글 문화를 만들어주세요. 입력하신 정보는 댓글 관리를 위해서만 사용됩니다.

인기글HOT

1

젠틀몬스터 신사옥, ‘하우스 노웨어 서울’이 보여주는 리테일의 미래

2

나이키 슬로건, 40년 만에 바뀌었다? JUST DO IT에서 ‘WHY DO IT?’ 으로

3

[뉴스콕] 카톡이 인스타처럼? 프로필 공개 개편에 엇갈린 반응 (8월 4주차)

4

러쉬는 왜 락페에 왔을까? – 화장실에서 만난 러쉬 대표님

5

MZ세대는 왜 겪어본 적도 없는 레트로를 그리워할까? : 아네모이아 현상

최신글

40년 넘게 ‘먹히는’ 맥도날드의 마케팅: 시대를 관통한 3가지 성공 전략

요즘 광고 카피, 왜 이리 잘해? 광줍픽 월간카피 TOP 6!

[뉴스콕] ‘깐부회동’ 효과 터졌다! 젠슨 황이 만든 깐부치킨 배달앱 검색 1위 신화 (11월 1주차)

“UX는 사람에 대한 고민입니다. 그렇기에 해야만 하는 일입니다”

소마코 마케팅 트렌드 리포트 (2025년 10월)

29년차 카피라이터가 선정 일본 카피 TOP 100 ! 필사하다 오열하는 일본어 명카피 필사노트

미국을 사로잡은 맛, ‘스와이시(Swicy)’의 정체는 달콤함+ㅇㅇ함?

갑차기스러운데 유행 밈 소개해도 돼? (2025년 10월 최신 밈 모음 zip.)

얼굴로 결제하는 시대, 페이스페이 vs 페이스사인

생성형 AI로 어디까지 가능할까? 최신 AI 마케팅 사례 모음 4

뉴스레터

엄선된 트렌드 인사이트를 이메일로 받아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