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든 글
AI영상으로 돈 못 번다고? 유튜브 정책에 휩쓸리지 않는 수익화 전략 가이드
얼마 전까지만 해도 생성형 AI로 간단하게 만든 AI영상들이 유튜브에서 쏠쏠한 수익을 올리며 ‘쉬운 돈벌이’의 대명사로 여겨졌었는데요. 하지만 이제 그런 시대는 끝났습니다. 7월 15일부터 유튜브가 AI 생성 콘텐츠에 대한 수익화 제한을 본격적으로 시행하면서, 크리에이터들은 완전히 새로운 전략이 필요하게 되었거든요. 이번 정책 변화는 단순한 ‘업데이트’ 수준이 아닙니다. 플랫폼 생태계의 근본적인 변화를 의미하는 거죠. 양산형 AI 콘텐츠들이 넘쳐나면서 […]
칸 라이언즈 2025, 이것만 알면 회사에서 아는 척 쌉가능! 😉
바쁜 여러분을 위해 낉여왔어요🎵 갖고 싶다 너란 사자.. 🦁 매년 6월, 광고계를 시끌시끌~하게 만드는 가장 권위 있는 크리에이티브 축제인 칸 라이언즈 국제 광고제! 꼭 봐야지 하다가… 바빠서 아직 자세히 못 보셨죠? 그 마음 광줍이가 제일 잘 아니까 ~ (🚃 막차 탑승 완)칸 라이언즈 국제 광고제에서 일어난 여러 이슈들과 함께 Grand Prix(최고상) 케이스들 중 광줍pick을 소개할게요!올해 칸에서는 […]
[뉴스콕] 다들 챗GPT 쓰는 줄 알았죠? 한국인 최애 챗봇 앱 따로 있다
7월 넷째 주, 마케터라면 꼭 알아야 할 뉴스를 콕 찍어 전달합니다!📌 📰 “주근깨도 꾸밈이야”…요즘 Z세대가 선택한 뷰티 타투📰 다들 챗GPT 쓰는 줄 알았죠? 한국인 최애 챗봇 앱 따로 있다📰 “잘 가 인급동”…유튜브 인기 급상승 탭, 시대의 막 내리다📰 “우유 먹고 배 안 아프다?”… 락토프리 시장이 뜨는 이유📰 아마존 프라임데이 1위 지킨 메디큐브, ‘1조 브랜드’ 눈앞 1️⃣ “주근깨도 꾸밈이야”…요즘 Z세대가 선택한 뷰티 타투 주근깨 타투, 이른바 ‘프레클 타투’가 Z세대를 중심으로 인기를 끌고 있습니다. 이 트렌드는 과거 감추거나 없애야 할 결점으로 여겨졌던 주근깨를 오히려 ‘꾸밈의 미학’으로 전환한 사례입니다. 타투로 주근깨를 새겨 넣는 이들은 ‘자연스러운 매력’, ‘동화적인 감성’, ‘나만의 […]
칸 그랑프리 한국 세 번째 주인공? 광고의 한계를 넓히는 광고인! 이노션 김정아 CCO
한국 광고계 세 번째 사자 등장! 지난 6월, 대한민국 광고계를 떠들석하게 만든 핫이슈가 있었죠. 바로, 세계 최고 권위의 광고제 칸 라이온즈에서 대한민국 역사상 세번째 칸 그랑프리 수상작이 나왔다는 자랑스러운 사실! 특히, 캠페인 선두에서 진두지휘한 이노션의 김정아 CCO(Chief Creative Officer)님이 눈에 띄었는데요. 보석같은 광고인을 소개할 좋은 기회라 오랜만에 #광고인줍줍이 돌아왔습니다! 캠페인 브리프 아시아 선정 한국 최고의 CD로 […]
출시 한 달 반 만에 2만명 개통… ‘우리WON모바일’이 호평 받는 이유
더피프티원에게 들은 우리WON모바일 UI·UX 설계 비결 지난 4월 18일, 우리은행이 알뜰폰 서비스인 ‘우리WON모바일’을 론칭했다. 최근 여러 은행이 단순 금융 서비스를 넘어 소비자 생활에 밀착된 플랫폼으로 확장을 시도하는 만큼, 우리은행 또한 필수 서비스 중 하나로 일컫는 통신 사업을 통해 보다 큰 영역에서 소비자를 확보하기 위한 시도다. 실제 우리WON모바일은 출시 한 달 반 만에 2만명이 넘는 사용자를 […]
‘여름블프’라는 단어가 ‘여름 특가 세일’보다 효과적인 이유
올해 들어 유독 패션업계에서 ‘여름블프’라는 단어가 많이 보이는 것 같습니다. 좀 이상하죠? 블랙프라이데이는 원래 미국 추수감사절 다음 날에 열리는 연말 최대 세일 이벤트를 뜻하는 단어니까요. 추수감사절이 한여름? 어폐가 있어보입니다. 그럼에도 ‘여름블프’라는 단어를 듣는 순간 어떤 걸 의미하는지 단박에 와닿습니다. 여름에도 블프 급으로 크게 할인을 한다는 의미를 설명할 필요도 없죠. ‘여름 빅세일’ 보다 임팩트가 크기도 하고요. […]
스마트안경: 구글과 메타, ‘눈’ 위에서 벌어지는 차세대 전쟁
2025년 여름, 패션과 기술이 손을 맞잡았다. 불과 몇 달 전 구글이 젠틀몬스터의 모회사 아이아이컴바인드를 통해 스마트안경 시장에 깃발을 꽂았다면, 이번에는 메타가 에실로룩소티카(EssilorLuxottica)의 지분 약 3%를 인수하며 ‘시선 플랫폼’을 선점하려는 행보에 나섰다. 두 사건 모두 하나의 키워드로 귀결된다. Wearable isn’t about devices anymore. It’s about context.웨어러블의 핵심은 더 이상 기기가 아니다. 맥락(상황)이다. 1️⃣안경이 아니라 인터페이스다 과거의 웨어러블 기기는 손목에서 시작됐고, […]
AI Roast, 위로 받을 땐 언제고, 이제는 까달라고?
브랜드 스스로가 겁내는 질문, 요즘엔 바이럴 포인트다 2025년 7월, SNS와 커뮤니티에서 묘한 요청이 퍼지고 있다. “나를 까줘.”“너만은 솔직하게 말해줘.”“내 브랜드 좀 디스해봐.” 대상은 연예인도, 친구도 아닌 AI 모델이다.ChatGPT를 비롯한 생성형 AI에게 ‘나를 로스트(roast, 팩폭)’ 해달라는 요청이 일종의 놀이처럼 번지고 있는 것이다. 이러한 요청이 봇물처럼 밀려들며, SNS에서는 너도 나도 나를 팩폭해달라는 글들이 올라오고 있다. ‘based on everything […]
햄버거가 여행을 마케팅 한다면? (올여름 버거는 NBB어때?)
햄버거처럼 맛있는 이국적인 요리를 먹으면서 ‘아, 이 맛의 본고장에 가보고 싶다’는 생각, 해보신 적 있나요? 최근 여기어때와 노브랜드 버거(NBB)가 바로 이 지점에 주목했습니다. ‘올여름 버거는 NBB 어때?’라는 위트 있는 이름으로 시작된 이들의 콜라보레이션은 변화하는 소비 트렌드를 읽고, 타겟 고객을 설계해 서로의 비즈니스 목표를 달성하려는 전략이 숨어 있습니다. 음식으로 여행을 영업한다는 발상, 과연 이 두기업은 어떤 전략을 세웠을까요? 1️⃣여름휴가 […]